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출생
출산
낳음
산출
생산
기원
시작
뉴스
"
탄생
"(으)로 총 2,015건 검색되었습니다.
[잠깐과학] 기차 시간 맞추려고
탄생
한 '그리니치 표준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8.01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옛사람들은 사는 곳에 따라 각자의 시간을 썼습니다. 대부분 해가 가장 높게 뜬 정오를 기준으로 하여 시간의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지역마다 해가 ...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8월 1일 발행) [[이달의 과학사] 기차 시간표를 맞추려고
탄생
했다? '그리니치 ... ...
금세기말 아시아엔 큰 비 많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7
교수와 일본 해양연구개발기구팀은 기후변화가 태풍이나 사이클론 등 열대성 저기압이
탄생
하는 북서태평양의 기단(공기 더어리)인 ‘몬순기압골’을 발달시켜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지역에 강우량을 크게 늘리고 한반도 지역의 강우량도 함께 증가할 것이란 연구 결과를 기후 분야 국제학술지 ... ...
[주말N수학]끈기와 소신을 지키는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
수학동아
l
2020.07.25
견디면서 만들어집니다. 스메일 교수의 삶을 통해 고귀한 것은 올바른 소신과 인내 끝에
탄생
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수학동아 7월호, [이달의 수학자] 끈기로 꽃피운 소신 '스티븐 스메일 ... ...
[프리미엄 리포트] 바이러스는 우주에서도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25
솟아오르는 곳으로, 온도가 높고 다양한 유기물이 존재해 최초의 세포가 이곳에서
탄생
했을 것이라는 추측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딕 교수가 발견한 바이러스는 심해 열수구에서 나오는 황을 에너지원으로 삼는 고세균에 기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바이러스가 자신이 더 빨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2020.07.21
수준이다. 달콤한 수박 겉껍질의 짙은 녹색과 선명한 보색대비를 이루는 붉은 속살의
탄생
에는 4번 염색체에 있는 LCYB 유전자의 변이가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박 과육의 색은 카로티노이드의 종류와 양에 따라 정해진다. LCYB는 붉은색을 띠는 카로티노이드 분자인 라이코펜을 ... ...
세계 최초 '수학대중화 석좌교수'가 말하는 AI시대의 수학
수학동아
l
2020.07.17
돕는 도구입니다.” 올해 3월 영국 워릭대에서는 세계 최초로 '수학대중화 석좌교수'가
탄생
했다. 주인공은 영국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수학자 김민형(57·사진) 교수다. 세계적인 명문대에서 다소 낯선 ‘수학대중화’라는 분야에 석좌교수로 한국인 수학자를 선임한 것이다. 이달 9일 서울 ... ...
AI 플랫폼 기업 제이엘케이, 9개 기업에 AI 데이터 기술 공급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제이엘케이의 데이터 토탈 관리 플랫폼 '헬로데이터'의 화면이다. 제이엘케이 제공 인공지능(AI) 플랫폼 기업 제이엘케이는 한국데이터 ... 가장 많은 AI 의료분석 솔루션을 개발하면서 얻은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탄생
한 헬로데이터가 시장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증명했다”고 말했다. ... ...
과학 이야기꾼이 되고 싶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콘텐츠 산업의 중심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한국에서도 경쟁력 있는 과학콘텐츠가
탄생
해 세계적인 지식재산으로 성장하는 데 이번 과정이 조금이나마 일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여러달 걸릴 실험 며칠 만에 끝내는 '로봇 화학자'의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0.07.11
네이처 제공 이번주 네이처 표지에는 로봇이 등장한다. 자동차 공장 등 산업현장에 널리 사용되는 팔 모양의 로봇이다. 하지만 자동차 부품 대신 화학약품이 담긴 플라스크를 들고 있다. 로봇이 있는 곳은 공장이 아니라 화학 실험실이다. 앤드루 쿠퍼 영국 리버풀대 화학과 교수팀은 상용화된 ... ...
[잠깐과학]'우주배경복사' 발견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7.04
사실 이 잡음은 태초의 우주에서 흘러나온 전자기파였습니다. 빅뱅으로 우주가
탄생
하고 38만 년 후, 처음으로 빛이 우주 전체로 흩어졌습니다. 이후 우주가 팽창하면서 빛 역시 파장이 길어져 전파가 되었습니다. 이를 ‘우주배경복사’라 부릅니다. 빅뱅의 증거인 셈입니다. 이 태초의 '잡음'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