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수학"(으)로 총 691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 컴퓨터를 활용한 아동 교육의 선구자 ‘시모어 페퍼트’2016.12.26
- 환경에 놓인 아이들이 컴퓨터를 접할 수 있게 힘을 쏟기도 했다. 2006년 베트남에서 열린 수학교육 관련 국제학술대회에 참석했다가 교통사고를 당해 뇌에 큰 부상을 입었고 후유증으로 언어장애가 생겨 오래 재활치료를 했는데 그가 개척한 교육방법론이 적용된 프로그램이었다고 한다. ※ ...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아이디어가 중요하다"며 "아이디어에 바탕을 둔 연구성과는 논란의 대상이 되고 수학 계산보다 논문으로 나오기 힘들지만 과학적 가치는 훨씬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양자장, 중력 및 끈이론 연구그룹의 운영은 매일 점심시간부터 오후 내내 폴리매스 (polymath)형식으로 끝장 토론과 구글 캠퍼스(Google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토머스 키블2016.12.21
- 84세에 작고했다. 1932년 당시 영국의 식민지인 인도 마드라스(현 지명은 첸나이)에서 수학교수의 아들로 태어난 키블은 1944년 영국 에든버러로 보내져 교육을 받았다. 1958년 에든버러대에서 수리물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이듬해부터 타계할 때까지 60년 가까이 임페리얼컬리지런던(ICL)의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4)생역학의 개척자, 맥네일 알렉산더2016.12.16
- 기어 다니고 사람은 걷거나 뛰고 까치는 날아다닌다. 동물들의 이런 다양한 이동방식을 수학과 물리학의 방법론을 끌어와 해석하는 ‘생역학(biomechanics)’ 분야를 개척한 맥네일 알렉산더(McNeill Alexander)가 지난 3월 21일 82세로 작고했다. 1934년 북아일랜드 리즈번에서 도시공학자 로버트 알렉산더와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계산화학의 선구자, 월터 콘2016.12.15
- 보내진 쿤은 자유의 몸이 된 뒤에도 유럽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토론토대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한 콘은 하버드대에서 핵물리학 연구로 1948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의 지도교수는 양자전기역학의 재규격화이론 연구로 1965년 노벨물리학상을 받게 되는 줄리언 슈윙거다. 카네기공대를 거쳐 196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게임이론의 개척차 ‘로이드 섀플리’2016.12.13
- 1923년 미국 케임브리지에서 저명한 천문학자 할로 섀플리의 아들로 태어난 로이드는 수학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 하버드대를 다니다 2차 세계대전이 터지자 징집돼 장교가 되라는 제안을 물리치고 사병으로 중국전선에서 복무했다. 이때 일본의 기상 암호를 해독해 훈장을 타기도 했다. 전쟁이 ... ...
- 과학계에도 금수저, 흙수저가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6.09.25
- 임금 격차가 큰 것은 학계로 나타났다. 또 2006년 기준 분야별로는 생활과학, 물리, 공학, 수학, 컴퓨터과학 순으로 임금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도나 짐서 미국 캔자스대 경제학 교수는 “과학에 대한 투자는 불확실성이 많고 막대한 금액이 필요하다”며 “그 때문에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사람을 ... ...
-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09.02
- 여러분은 ‘사귄다’고 이야기하면 가장 먼저 무엇이 떠오르나요? 서로 좋아하는 여자와 남자가 만나 데이트 하는 모습이 생각날 겁니다. 근데 북한에서는 ‘사귐’이라는 단 ... 이나연의 외 참고 도서 김도한, 신정선의 ...
- “어른이 된 해바라기는 동쪽만 바라본다”동아사이언스 l2016.08.07
- 컴퓨터를 만들었다. 이들 중 몇몇 알고리듬은 '양자 효과'를 이용해 한 번에 여러 종류의 수학적 계산을 수행했다. 뎁나드 교수는 "이 시스템을 활용해 기본적인 정보 처리를 수행한 결과 최대 98%의 정확도를 보였다"며 “큐비트 수를 늘리면 더 큰 규모의 양자 컴퓨터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 귀차니즘을 떨칠 수 있는 심리학적 방법은? 2016.05.31
- 펴기를 10번 한다’, ‘계단 VS. 엘리베이터의 상황이라면 반드시 계단을 선택한다’, ‘수학 문제 하나 틀릴 때마다 무조건 앞구르기를 10회 한다’같은 구체적인 조건과 행동을 함께 묶은 행동 규칙들을 많이 만들어 두라는 것이다. 어떤 환경적 신호를 보면 바로 그 행동이 자동적으로 튀어 나갈 수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