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스페셜
"
실험실
"(으)로 총 612건 검색되었습니다.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동안 박테리아 포자를 연구하던 우즈는 1960년 제너럴일렉트릭의 연구실에 취직해 자기
실험실
을 차리게 됐다. 실험설비가 도착하기를 기다리는 동안 우즈는 이런저런 문헌을 읽으며 1953년 DNA이중나선 발견 이후 가장 큰 도전이 유전암호를 해독하는 일(DNA정보가 어떻게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956년 미국 보든칼리지 화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한 뒤 록펠러대의 에드워드 테이텀 교수의
실험실
에서 대학원 생활을 했다. 테이텀은 1958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샛킨은 항생제 액티노마이신 D가 전령RNA의 합성을 방해해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는데, 이를 이용해 숙주에서 바이러스 유전자의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뒤 1962년 런던의 왕립연구소에서 단백질 결정학 분야의 개척자인 데이비드 필립스 박사
실험실
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했다. 당시 필립스 박사팀은 박테리아 세포벽을 파괴하는 효소인 라이소자임의 구조를 밝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당시까지 구조가 밝혀진 단백질은 미오글로빈과 헤모글로빈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IBM에 적을 두면서 세이어는 결정학 연구도 병행했는데 1972~73년 안식년을 호지킨의
실험실
에서 보냈다. 이때 아내 앤은 비운의 결정학자 로절린드 프랭클린의 전기 ‘Rosalind Franklin and DNA’를 집필했다(1975년 출간). 1970년대 세이어는 X선 현미경으로 관심을 돌렸고 IBM의 나노기술을 이용해 연구를 ... ...
과학수사도 ‘콘트롤 타워’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3.31
과학수사
실험실
을 상정한 이미지 사진. 국내 과학수사 기법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관련 기술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법과학’ 분야는 선진국에 비해 미진하다는 지적이 많다. 과학동아 제공. 3월 27일 서울 강남구 팔레스호텔에서는 ‘과학수사’의 발전방향에 대한,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 ...
“환자를 우선한 연구가 상업화도 빠르게 만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2.09.10
” 미국에서 면역학을 공부하면서 박 교수는 자신이 환자를 만나는 것만큼이나
실험실
에서 연구하는 것과 잘 맞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더군다나 어릴 때 앓았던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면역과 관계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연구에 재미도 붙었다. 그는 의사 중에도 연구와 적성이 맞는 ... ...
“교육 선진화도 못하면서 바이오선진화 꿈도 꾸지마라”
동아사이언스
l
2012.08.28
유럽 등 선진국과 격차도 있다”며 “최근에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들 수 있는 한국
실험실
도 많아졌고 논문도 늘어나 충분히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광수 교수의 ‘이것만은 꼭!’ △우수 인재를 생명공학자로 키울 사회적 분위기 필요 △의사와 생명공학자 뿐 아니라 다양한 ...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3
정책을 세워야 한다는 의견이 큰 공감을 얻었다. 김용환 박사는 “록펠러대에 있는 우리
실험실
만 해도 ‘판코니 아네미아’ 환자 샘플이 발병 원인별로 구분돼 1200개 정도 임상 샘플로 구축돼 있는 것처럼 미국이나 유럽은 오래 전부터 축적한 정보가 많다”며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인프라를 ... ...
생명공학 발전은 ‘네트워크’에서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2.03.07
주장했다. 그는 “연구자들의 환경을 잘 알고 있는 과학자들이 사회 곳곳으로 진출하면
실험실
과 정책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양은경 단장의 ‘이것만은 꼭!’ △생명공학 연구 위한 폭넓은 네트워크 구축 △장기간 연구를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필요 ... ...
“바이오 연구, 재구조화로 산업적 성과 이끌어 내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마치며 바이오 분야 논문 세계 11위라는 성적표를 내놓았다. 올해부터 시작할 2단계에는
실험실
의 연구를 실제 산업으로 잇는 노력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기초원천 연구가 많았지만 산업화로 이어지지 않은 데는 소위 ‘소통’이 문제였습니다. 기초원천 연구에서 쓰는 용어와 산업화 쪽에서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