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잘못"(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2016.05.02
- 다보탑과 석가탑을 감상하려는 계획을 접고 국립경주박물관으로 향했다. 지금 생각하면 잘못된 결정이었던 것 같다. 박물관을 들어서자 성덕대왕신종(일명 에밀레종)이 떡하니 자리하고 있는데 가까이 가서 보니 전율이 일 정도로 품격이 높았다. 1200여 년 전 이 종을 만든 장인(예술가)들에게 ... ...
- 피해의식과 강한 신념 그리고 집단의식이 테러를 만든다2016.03.29
- 특성)’과 ‘성실성’이 높을수록 사람들과 갈등을 일으키거나 실망시키기 싫은 나머지 잘못된 명령에도 쉽게 복종하기도 한다. 밀그램 실험같이 어떤 사람을 고문하라고 했을 때 원만성이 높을수록 또 성실성이 높을수록 더 높은 확률로 응한단 연구가 있었다 (Bègue et al., 2015). 위에서 살펴본 바 ... ...
- 스트레스를 받는 나에게만 가혹한 ○○○ 세상, 정말일까2016.02.23
- 일부러 그랬다고 생각하고, 얘는 원래 이거밖에 안 되는 사람, 나쁜 사람이었나 보다며 잘못을 상대방의 ‘인성’으로 귀인(내적귀인)하는 경향을 비교적 강하게 보이기도 한다. 이렇게 사람들의 의도를 부정적인 방향으로 편향되게 해석 하다 보니, 사람들의 의도를 오해하고 화를 낼 일이 비교적 ... ...
- ‘책임 회피’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적반하장, 어떻게 행동하면 좋을까2016.02.16
- 핸들을 잡고 수동으로 조종하는 것처럼 자아가 그런 대장 역할을 하지 않냐는 것이다. 잘못된 행동을 하고서 도덕적 정체성을 지켜보겠다고 적반하장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약자에게 불필요하게 잔인하게 행동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늘 자신을 감독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 필자소개 ... ...
- 아파야 엄마일까2016.01.12
-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또 다른 양육자의, 사회의 직무유기가 고집하는 잘못된 환상이다. 우리 사회에서 어머니의 희생을 찬양하며 ‘날 위해 희생하신 어머니’류의 눈물 겨운 서사는 이미 익숙하다. 하지만 여기서 더 나아가 ‘이제 희생은 그만하시고 어머니의 삶을 사세요. ...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2016.01.11
- 있는 걸로 봤다. 지난해 초 발표돼 화제가 된 암 발생의 ‘불운 가설’은 데이터를 잘못 해서한 결과라고 주장하는 논문이 ‘네이처’ 1월 7일자에 실렸다. 즉 암 발생률(세로축)과 줄기세포 분열횟수(가로축)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 분포돼 있는 여러 암 가운데 아래쪽에 있는 것들만 ... ...
- 국민의 신뢰가 원자력의 안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5.12.29
- "규제기관도 국민의 자식입니다. 잘못하면 호되게 야단쳐서 고쳐야 하지만 작은 잘못은 스스로 고쳐 나갈 수 있도록 믿어주고 키워줘야 합니다." 원자력의 안전을 책임지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하 KINS) 김무환 원장은 이렇게 강조했다. 사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우리나라 국민의 ... ...
- 영화 속 스파이가 실제 원자력 시설에 침투할 수 있을까?2015.12.22
- Km를 탐지할 수 있는 고성능 열화상 카메라나 지형과 현장에 딱 맞게 설계 제작할 수 있고 잘못된 경보를 내보내는 경우가 적은 ‘레이져 광망 센서’ 등이 설치되어 시험 중이다. 아직은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장비들이지만 이곳에서 성능 실험에 통과한다면 언제든지 실제 현장에 설치될 수 있는 ... ...
- “내가 해 봐서 아는데~”의 함정2015.12.15
- 그리고 이미 무뎌진 자신의 경험에만 기초하여 '남들은 다를 수도 있어'를 생각지 못하고 잘못된 판단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미 같은 문제를 수십 번 풀어 봐서 본인에게는 쉬운 문제가 아이들에게도 쉬울 거라고 생각하는 선생님들이 비슷한 예다. 앞서 언급했듯 사람의 마음을 읽는 조망수용 ... ...
- 거짓말을 잘하고, 지저분한 사람은 ○○○이 높다?2015.12.08
- 정직하지 않은 행동을 하도록 유인했다. 거짓 조건 참가자들에게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잘못돼서 스페이스바를 눌러서 멈추지 않으면 문제의 정답이 화면에 나타난다고 이야기 했다. 따라서 참가자들은 스페이스바를 눌러서 정답을 보지 않고 문제를 풀었어야 했지만, 53명 중 51명이 정답을 보고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