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돌림병
역병
유행병
전염성질환
매독
시체병
전염성 질환
스페셜
"
전염병
"(으)로 총 616건 검색되었습니다.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
2016.09.07
즉 월터의 경우처럼 증상이 나타나고(주로 설사) 24시간도 안 돼 사망할 수도 있는
전염병
이 바로 콜레라다. 지난 8월 23년 15년 만에 국내에서 콜레라 환자가 발생한 뒤 현재 네 명의 환자가 보고됐다. 이 가운데 세 사람은 동일한 유형의 콜레라균에 감염된 것으로 보이고 9월 3일 확증된 네 번째 ... ...
소극적인 사람이
전염병
에도 덜 걸린다?
2016.03.22
원인에 대해서는 추측만 할 뿐이다. 하지만 흥미로운 결과임은 분명한 것 같다. 성격과
전염병
사이에 상관이 있다니, 또 어떤 예측 불가능한 요소와 우리의 내적 특성이 관련되어 있을지 기대해봅시다.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
2016.01.25
검출할 수 있는 기관에 보냈고 셋 다 양성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모기가 옮기는
전염병
가운데 사람 사이에 감염이 된 최초의 사례다(아내는 모기에 노출된 적이 없으므로). 그렇다면 어떻게 지카바이러스는 모기 없이도 다른 숙주에게 갈 수 있었을까. 당시 포이 교수는 전립선염이 있었는데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에이즈 환자 목숨 구한 면역학자 ‘윌리엄 폴’
2016.01.07
연구로 1980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게 된다. 1968년 베나세라프가 NIH 산하 국립알레르기
전염병
연구소(NIAID) 면역실험실 실장으로 자리를 옮기자 폴도 따라갔다. 그런데 2년 뒤 베나세라프는 하버드대로 가게 됐고 이때 폴을 자신의 후계자로 강력히 추천했다. 그 결과 불과 서른네 살인 폴이 실장이 ... ...
응답하라, 옛날이여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복고풍'이라는 주술로 과거의 문화적 흔적들을 하나씩 소환하고 있다. '과거 추억하기'는
전염병
처럼 전 세대로 감염되고 있다. 그 증거가 복고를 통한 노스탤지어의 자극하는 영화와 드라마의 약진이다. 1990년대의 모습을 그려내어 3~40대들의 열광을 받은 <응답하라...> 시리즈가 다시 한 번 지난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있다. ● 중국과학자 노벨상수상은 마오쩌둥 덕분? 인류 역사에서 악명 높은 기생충
전염병
인 말라리아는 지금도 매년 50만 여명이 목숨을 잃는 무시무시한 질병이다. 무엇보다도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모기장’이 가장 확실한 예방책인 게 현실이다. 그나마 1980년대 말라리아 치료제 ... ...
전염병
의 제왕, 천연두를 박멸하기까지
KISTI
l
2015.08.11
2주를 버티기 힘들었고, 낫더라도 흉한 곰보 자국을 남겼다. 천연두는 인류 최초의
전염병
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적으로 천연두로 3억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한다. 천연두가 발생했던 시기를 추정해 보자면, 기원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1157년에 사망한 람세스 5세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훨씬 적었다. 2009년 신종플루가 지나가고 6년 만에 메르스가 왔듯이 또 언제 어떤
전염병
이 한반도를 덮칠지 알 수 없다. 그럴 때마다 새로 등장한 병원체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우리는 늘 제자리걸음을 할 것이다. ‘미생물과 숙주의 상호관계’라는 좀 더 넓은 관점으로 사태를 바라봐야 한다는 ... ...
손목에 차고만 있어도 전기가 생긴다?
KISTI
l
2015.06.09
직원들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고안됐다. 구글이 검색엔진을 통해 집계된 데이터로
전염병
관리예방 시스템으로 만들었던 이른바 ‘구글 플루’와 유사한 기술이다. 미국의 브랜칭마인즈 재단이 만든 인터넷 기술도 있다. 학생 개인의 학습 내역을 기록하고 목표 달성을 돕는 서비스로 개인 ... ...
메르스 치사율, 한 자리 숫자일 듯
2015.06.01
빨간색이 바이러스가 검출된 구역이다. - 신종감염병저널(EIDJ) 제공 학계에서는 많은
전염병
에서 ‘20/80 법칙’이 적용된다고 보고 있다. 즉 20%의 환자가 적어도 전염의 80%를 일으킨다는 임상관찰을 토대로 한 추측이다. 그렇다면 누가, 왜, 수퍼감염자가 되는 걸까. 이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쾌한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