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내
지휘
통솔
맵
길잡이
약도
기로
스페셜
"
지도
"(으)로 총 73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장내미생물이 피부암 치료에 도움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7
단 한 마리만 종양이 느리게 성장하고 나머지 두 마리는 빠르게 성장했다. 이번 연구를
지도
한 토마스 가예프스키 교수는 “이번 결과는 미생물이 종양에 대한 면역 반응을 이끌어 내는 주요 요인이라는 것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향후 연구팀은 비피더스 균 같은 생균제가 면역 치료를 촉진할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사실을 발견했다. 반면 나이가 든다고 증가하는 건 아니었다. 즉 아인슈타인은 죽을 때까
지도
머리를 많이 썼기 때문에 교세포가 많았다는 얘기다. 지능이 높은 사람들의 뇌의 네트워크 패턴이 다르다는 이번 연구결과를 보며 똑똑함은 타고난 것 보다는 평소 꾸준히 머리를 쓴 결과가 아닌가 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어차피 드레버는 시상식에 오지 못 할 것이고 어쩌면 자신의 수상 사실도 인식하지 못할
지도
모른다. (실제 시험관아기 연구로 2010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단독 수상한 로버트 에드워즈는 당시 85세로 치매가 심해 시상식에 참석하지 못했고 아내가 대신 수상했다. 2008년에 찍은 그가 활짝 웃고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제시했다. 일본에서 치사율이 높은 건 E형의 추가변이로 병원성이 커진 게 이유일
지도
모른다. 제주도 환자와 그 외 지역의 환자 사이에 증세에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다. 이 바이러스의 기원이 40여 년 전으로 추정됨에도 환자가 보고된 게 불과 10여 년 전인 이유에 대해서 저자들은 세 가지 가능성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한다. 20세기 들어서는 유전학자들도 뛰어들어 1910년대까지만 해도 나팔꽃의 염색체
지도
가 식물로는 세계에서 가장 앞서는 수준이었다. 지금도 나팔꽃은 원예식물의 모델로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연구자들은 지난 수년 사이 대유행하고 있는 3세대 게놈편집기술인 크리스퍼/캐스9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불리는데 근육의 움직임을 관장한다. 각 영역별로 담당하는 신체부위를 그린 몸순서배열
지도
로 얼굴과 손의 비중이 상당히 크다. - 위키피디아 제공 여기서 잠깐 사람의 손놀림 회로를 살펴보자. 뇌의 전두엽이 두정엽과 만나는 지점인 중심전회는 1차 운동피질이라고 부르는데 우리 몸의 근육 ... ...
당신이 틀린걸 인정할 때 자존심이 상하나요?
2017.06.03
자신이 읽은 글이 자신의 믿음과 다른 의견이라고 해서 해당 의견의 신뢰도를 평가절하
지도
않는 모습을 보였다. 다른 의견이지만 나름 일리가 있다며 수용할 줄 알았다는 것이다. 또한 ‘사람(글쓴이)’에 대해 평가해보게 했을 때도 지적 겸손 정도가 높은 사람들은 글쓴이가 도덕적이지 않다던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차별’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구별’일뿐 서로를 위해 좋은 것이라고 설명할
지도
모르겠지만 여성의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들 것이다. 예전에 TV에서 한 역사학자의 강의를 들었는데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던 내용이라 깊은 인상을 받았다. 즉 불교국가인 고려시대까지만 해도 여성의 ... ...
사막에 숨겨진 속살, 더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5.14
바스틴 교수가 이끈 FAO 연구팀은 지구상 건조 산림 지대를 한눈에 보기 쉽게
지도
위에 색을 달리해 나타냈다. - Science 제공 그 결과 바스틴 교수는 “지금까지 지구상 건조지대가 41.5% 정도라고 알려진 과거 데이터와 비교해 현재 지구상 건조지대는 47% 이상 될 것으로 추정한다”며, “우리는 ... ...
[사이언스지식IN] “돌 안된 아이에 꿀 금지, 잊지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역시 국가 차원에서 자국 제품에는 반드시 경고문을 넣게 하는 등 영아 꿀 복용 금지를
지도
하고 있는데도 이번에 처음으로 사망자가 나왔다. 아이의 부모는 한 일본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꿀 복용의 위험성을 전혀 몰랐다고 말했다. 보툴리누스균의 독소에 노출된 음식을 아이가 먹지 않도록,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