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2. 현대 통일장이론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제1혁명이 일어났다. 이 결과 초끈이론은 초중력이론을 누르고 최근까지 프린스턴 고등
연구원
의 위튼 박사 등에 의해 이상적인 통일장이론으로 제기되고 있다.그런데 10차원 초끈이론의 문제점은 어디서 시작하는가에 따라 다섯가지 서로 다른 형태의 이론이 나온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가운데 ... ...
1. 역사속의 암호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1939년 영국 정부는 런던 근교의 블레츨레이 공원에 암호학교를 세웠다. 1천여명의
연구원
이 참여한 이 학교의 목적은 오직 하나, 독일의 에니그마 암호문을 해독하는 것이었다. 수학의 천재 튜링(1912-54)을 비롯한 당대의 과학자들이 몰려들었다. 암호문을 번역하는 일은 무척 지루한 작업이었다. ... ...
3. 한국 경제의 돌파구 벤처기업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등 관련 부서에서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 또 벤처기업에 우수한
연구원
들을 공급하기 위해 국방부에서 병역특례 등도 확대하고 있다. 서울, 인천, 대전 등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벤처단지와 벤처빌딩을 조성함으로써 벤처기업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정당 역시 여·야를 ... ...
2. 인간과 기계의 두뇌 싸움 역사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중무장한 체스프로그램들은 기능을 꾸준히 강화한 끝에 1988년 카네기멜론대학
연구원
들에 의해 개발된 ‘딥소트’(Deep Tho-ught)는 인간 ‘고수’와 대등한 경기를 펼칠 만큼의 수준에 도달했다. 딥소트는 IBM으로 넘어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완전히 개량한 새로운 시스템인 ‘딥블루’로 다시 ... ...
1. 현대사회 최고 스타 '벤처기업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역사는 1980년대 초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82년에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KIST)과 전자기술연구소에 근무하던 이용태씨가 '삼보컴퓨터'를 세워 오늘날 중견기업으로 키웠다. 같은 시기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로 있던 이범천씨와 그의 후배들은 '큐닉스컴퓨터'를 차려 현재 ... ...
바다탐험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급속한 과학발전에도 불구하고 우주는 아직도 많은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 미지의 세계이자, 인류의 미래와 함께 할 개척지다. 이에 과학자들을 비롯한 많은 분야의 사람들이 이 두 개척지에 끊임없는 관심과 열정을 쏟아붓고 있다. 이번에 소개하는 곳은 "Sea and Sky"(http://www.magicnet.net/~jdk/seasky.html)라 ... ...
5. 20대 젊음을 불태운다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김사장은 우선 자본을 만들기 위해 삼성종합기술원, KAIST 인공위성센터, 전자통신
연구원
으로부터 용역을 받았다. 그가 개발한 제품은 과학위성인 우리별 3호 테스트 장비와 ATM 관련 장비들이었다. 지난해에는 그 덕분에 1억원을 벌었다. 올해 사업은 디지털 인공위성방송 시스템중 실시간으로 ... ...
종이위에 펼쳐지는 가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추정됐다. 하지만 심증만 있을 뿐이었다.결국 형사사진실에 3장의 사진이 전달됐다.
연구원
들이 부분 확대와 중첩을 통해 미세한 특징을 찾기 시작했다. 우선 3장 모두에서 오른쪽 귀가 왼쪽보다 눈을 기준으로 위로 올라왔으며, 오른쪽 눈은 쌍커풀이 있지만 왼쪽은 없다는 공통점이 발견됐다. 또 ... ...
전세계를 실망시킨 몽고 개기일식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3월 7일 천문대
연구원
들과 아마추어천문가들로 구성된 28명의 몽골(몽고) 개기일식 원정대는 수도인 울란바토르를 향해 떠났다. 몽골은 -20℃의 강추위에도 불구하고 이번 개기일식이 가장 잘 보일 것이라는 예상 때문에 전세계에서 수많은 개기일식 마니아들이 모여들었다. 일본인만 2천명이 ... ...
NASA는 어떤 조직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엄청난 NASA를 끌어나가는 실질적인 힘은 프로젝트가 있을 때마다 참여하는 계약직
연구원
으로부터 나온다고 할 수 있다.NASA의 올해 예산은 약 1백38억달러로 출발 당시보다 1백40배 가까이 커졌다. 이중 우주정거장 계획과 우주왕복선 계획 등을 추진하는 분야가 53억6천만달러, 과학 및 항공기술 연구 ... ...
이전
606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