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천
변이
변경
변질
변동
전환
변환
뉴스
"
변화
"(으)로 총 9,86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알면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도 이해할 수 있는 산수이다. 하지만 식 (1)에서 식 (2)로의
변화
는 좀 눈여겨볼만하다. 식 (1)은 지금까지 플랑크 상수를 킬로그램(kg)과 미터(m)와 초(sec)로 정의했음을 보여준다. 이때 킬로그램은 인간이 임의로 만든 금속덩어리의 질량이다. (미터도 예전엔 그랬다.) ... ...
"軍도 탐내는 로봇, AI 손에 넣고 스스로 문제 풀며 진화中"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앞글자를 딴 이름이다. 조 팀장은 “스마트폰을 손에 넣었을 뿐인데 모든 분야에서
변화
가 생긴 인간처럼 로봇도 AI를 손에 넣음으로써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AI 기술 중 하나인 빅데이터를 동시에 여러 개의 연산을 수행하는 멀티프로세서로 학습하는 딥러닝(심화학습) 기술은 ... ...
"초연결軍 시대 온다는데 보안문제 앞에 한없이 작아지는 한국군"
동아사이언스
l
2019.06.26
매드 사이언티스트 콘퍼런스’에서 통신기술의 발전이 낳을 초연결 기술과 미래 전장의
변화
를 이렇게 설명했다. 육군 교육사령부와 KIST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행사는 미 국방부가 과학자들이 소개하는 첨단 기술을 듣기 위해 여는 ‘매드 사이언티스트 콘퍼런스’ 모델을 바탕으로 마련됐다. ... ...
단백질 구조와 유전자 변이 동시에 분석해 유전자 진단 정확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6
김상욱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와 김동효 연구원팀은 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의 구조
변화
를 추가로 분석해, 기존의 유전자 분석 과정에서 놓치던 변이를 검출하고 이를 통해 질병 예측 확률을 높이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분자생물학 분야 국제학술지 ‘뉴클레익 ... ...
이질적인 소재의 경계에서 제조혁명 씨앗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압전소재는 자기장 대신 전압으로 물질이 변형되는 소재다. 둘을 이어주면 자기장의
변화
를 전압으로 바꿀 수 있게 된다. 두 소재의 인터페이스를 따라 변형이 전달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를 어떻게 조절하느냐에 따라 성능이 바뀐다. 연구단은 압전소재와 자왜금속소재의 결정이 ... ...
몸에 좋은 미생물 먹으면 장내미생물 정말 변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참여한 시민은 이런 자신의 장내미생물 균형 상태와, 프로바이오틱스 섭취에 따른
변화
여부를 기록한 보고서를 제공 받을 계획이다. 참여는 스마일바이오미 웹사이트(www.smilebiome.com)를 통해 할 수 있다. 천랩은 10만 여 개의 정제된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고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000개 조각으로 쪼개 각각을 대장균(E. coli)에 넣어준 뒤 약물(여기서는 딜티아젬)의 농도
변화
를 본다. 만일 농도가 줄었다면 그 대장균에 넣은 게놈 조각에 대사 효소 유전자가 들어있는 것이다(아래). 네이처 제공 유전자 300만 개의 위력 한편 이번 연구는 장내미생물의 약물 대사와 관련해 새로운 ... ...
세포 신호 전달자 ‘일산화질소’ 조절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나이트로실 복합체’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일산화질소의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의
변화
를 직접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일산화질소는 세포의 생화학적 정보가 전달되도록 돕는 조력자 역할을 한다. 혈관 확장이나 면역 시스템 조절, 신경 전달 등 다양한 정보를 전달해 세포 ... ...
원숭이도 사용하는 도구 ‘유행’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카푸친원숭이가 사용한 도구들. 위 셋은 왼쪽부터 차례로 캐슈넛을 갈아 먹는 오늘날의 석기, 257년 전의 석기 망치(가운데)와 모루(오른쪽). 아래 셋은 가장 ... 사실이 드러났다”며 “앞으로 동물의 석기를 연구해 이들이 어떻게 장기적인 생태
변화
에 적응했는지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 ...
'원자로 운영자 한 명에게만 책임 몰아가기?'…한빛1호기 끝나지 않은 의혹들
2019.06.24
2차측 열출력은 원자로 출력이 15% 이상이고 온도와 압력이 안정돼 냉각수의 열량
변화
가 커져야 신뢰할 수 있는 값이다. 사건 당시와 같은 열출력 15% 미만의 시험 상황에서는 적용할 수 없는 측정법이다. 이 같은 내용은 한수원의 시험 절차서에 적혀 있었음에도 한수원은 절차서를 제대로 ... ...
이전
606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