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잠 테크놀로지 시대, 숙면 위해 ○○하라!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유도하는 호르몬으로, 깊은 잠을 자는 데 분비량이 큰 영향을 미친다. 그 결과, 암흑일 때 멜라토닌이 가장 많이 분비됐고, 이어서 녹색 빛, 푸른 빛 순서였다. 암흑과 녹색 빛은 분비량이 비슷한 반면, 푸른 빛의 경우 그 값이 현저히 떨어졌다. 허경 교수는 “빛의 밝기와 색감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레이턴씨는 31년째 보이틀러 교수의 업무지원과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밤낮없이 일하는 보이틀러와 함께 그 역시 박테리아 배양기를 조절하거나 DNA 서열을 읽는 등 연구를 도왔다. 보이틀러 교수는 “이제 전 세계의 과학자들과 관계를 맺고 질병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폭넓은 연구를 ... ...
- [Issue] 이게 맥주야? 커피야? 질소 커피의 인기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있다.쓴 맛은 다운, 단 맛은 업!질소 커피를 마시다 문득 평소에 마시던 커피 맛이 궁금해 일반 콜드 브루 커피에 손을 뻗었다. “어, 왜 이렇게 쓰지”라는 말이 절로 나왔다. 질소 커피만 마실 때는 몰랐는데, 다른 커피와 비교해보니 상대적으로 맛이 달았다. 신 팀장은 “질소 커피를 개발하게 된 ... ...
- [Issue] 과학강국의 이면, 인도 ‘다리 밑 학교’를 가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 날 과학 교육 봉사를 함께 한 김성미 통역사가 말했다. 그는 10년간 인도에서 통역 일을 하며 다양한 공립 학교의 학생들을 만나왔다.다리 밑 학교는 애칭이 아니라 정말 다리 밑에서 운영되는 학교다. 2009년에 설립된 이 학교는 정부가 세운 정식 학교가 아닌 개인이 세운 학교로, 여러 사회 ... ...
- [Issue] 전세계 과학자들이 거리로 나선 이유 “과학, 이제 침묵하지 않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전원이 “국정 운영은 과학적으로!”, “연구는 자율적으로!” 같은 구호와 함께 광화문 일대를 행진했다.함께하는 과학행진은 과실연(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 ESC(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가 공동주최하고 브릭, 동아사이언스, 대덕넷 등이 후원했다 ... ...
- [Origin] 영국 쿼드람 인스티튜트 바이오사이언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어마어마합니다.노리치를 방문할 계획이 있다면 10월에 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21일부터 29일까지 큰 과학축제가 열리기 때문입니다. 생명과학 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전시회, 쇼가 열리고요, 저녁에는 분위기 있는 펍(Pub)에 앉아서 연구자들과 과학 얘기로 수다를 떨 수도 있습니다. QIB는 ...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1859년에 낸 ‘종의 기원’에서 자연선택이 개체뿐만 아니라 집단 수준에서도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테면, 마블링이 잘 된 1++등급의 소는 자기 자신은 인간에게 잡아먹히지만 혈연 집단에게는 인간에게 길러지는 이점을 주었기에 마블링이 좋은 육질이 인위 선택되었다고 설명했다. ... ...
- Intro. 암(癌) 지독한 랜덤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살아있는 한 세포분열을 그만둘 수 없는 우리가, 그렇다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암(癌) 지독한 랜덤 게임?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Part 3. 암 치료, 두 가지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2~3년 뒤의 연구 트렌드를 완전히 바꿀 수 있다. 그간 수십만 개 클론의 암세포에 일대일 대응책을 마련하고자 지나치게 소모됐던 연구 자원이, 조기진단을 위한 기술력 확보에 더 중요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한다.옥찬영_ock.chanyoung@gmail.com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서울대병원에서 수련의 및 내과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반죽이 부풀어 올랐기 때문이다. 맛보기 위해 손으로 빵을 당겼는데 생각보다 단단했다. 일반 밀보다 글루텐이 거의 없어 점탄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입에 넣는 순간, 누룽지처럼 구수하고 술의 향긋한 향기가 입 안 가득 퍼졌다. 단단한 식감 탓에 천천히 오래 씹어야 했는데, 씹으면 씹을수록 ... ...
이전6076086096106116126136146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