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딱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올해는 무려 160개 학교에서 STEAM을
시작
한다고 해. 작년에는 불과 16개 학교에서
시작
했는데, 1년 사이에 10배나 늘었지 뭐야. STEAM은 단순히 다섯 과목을 한 번에 가르치는 교육이 아니야. STEAM의 핵심은 바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지. 문제를 푸는 연습을 꾸준히 한다면 그런 능력을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저녁 거리에 가로등이 켜지듯이 은하에 해당하는 밝은 광원이 필라멘트 위에서 반짝이기
시작
한다. 임의의 우주 초기 조건에서 디지털 은하가 탄생하는 순간이다.디지털 우주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은 컴퓨터라는 도구에 대한 신뢰를 높인다. 이제는 컴퓨터를 사용해 붓으로 그린 듯한 그림을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가 본격적으로 중이온(납 이온) 실험을
시작
할 예정이었다. 고수는 싸우지 않고도 상대를 알아보는 법. 이미 인류 역사상 최고온이라는 기록을 달성한 고수 RHIC은 한 체급 높은 LHC가 자신을 능가할 거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2010년 11월, LHC는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구식 인공 지능(GOFAI)’이라 부르며 기호를 바탕으로 하지 않는 인공 지능을 연구하기
시작
했다.인공신경망을 통한 기계 학습에 대한 연구가 그 예이다. 인공신경망의 각 세포들은 입력된 정보가 무엇인지 알아내는 대신에, 정해진 규칙에 따라 행동하며 다른 세포로 정보를 전달한다. 이런 과정을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소수였고 1960년대에 접어들어서야 많은 사람들이 그 가능성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기
시작
했다. 블랙홀이라는 용어가 만들어진 게 1967년이다. 1970년대 들어 마침내 지구에서 6000광년 떨어진 곳에서 강한 X선을 내는 천체인 ‘백조자리 X-1’의 중심에 블랙홀이 있을 것이라고 확신하게 됐다. 이처럼 별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뇌과학자와 뇌공학자들이 모여 ‘인간 커넥톰 프로젝트’라는 21세기 뇌 프로젝트가
시작
됐다.인간의 뇌 지도를 밝히는 연구에 도전할 수 있었던 것은 뇌영상 기술의 놀라운 발전 덕분이다. 생체공학자들은 신경세포들을 연결하는 신경섬유 다발의 구조를 뇌를 해부하지 않고도 MRI(자기공명영상 ... ...
문과냐 이과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한 다음 깊이 공부하고 싶은 분야의 전문적인 책을 찾아보고 공부를 본격적으로
시작
해도 늦지 않다. 무엇보다 공부하는 과정이 행복해야 한다. 관심분야가 생겨서 스스로 공부를 하면 과정이 즐겁다. 스스로 주도적으로 공부해 보자. 방향이 없는데 무조건 열심히만 하면 능률이 잘 오르지 않는다. ... ...
마법 요리의 세계로 오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갔던 시설 학생들에게 더 도움을 주고 싶어 수학, 영어를 가르치는 ‘학습봉사’도
시작
했다.PSL은 학습과 인성 면에서 학생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학생들 인생의 터닝 포인트가 된 PSL의 활동을 응원한다 ... ...
Norway Killer Played Violent Games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가족들에게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혹은 다른 MMORPG 게임(다중접속 롤플레잉 게임)을
시작
했다고 말해야 이후 몇 달에서 몇 년간 의심을 사지 않을 것이라고 적었다. 그는 이것이 고립을 정당화하며 오랜 기간 전화를 받지 않아도 사람들이 이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요한 점은 브레이빅이 사회적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가능투명망토를 만들고자 했던 과학자들의 노력은 메타물질을 발견하면서 속도가 붙기
시작
했다. 메타물질은 빛을 굴절시키지 않고 바깥쪽으로 흘려보내는 물질이다. 메타물질로 물체를 감싸면 빛이 돌아나간다. 이 때문에 가시광선에 노출되지 않아 모습을 숨길 수 있다.메타물질은 빛의 ... ...
이전
608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