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공작실] 종이로 끼워 만드는 육팔면체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어떻게 만드느냐다. 중심 분할을 응용해 유닛을 만들어 보자. 중심 분할 정다면체는 1가지 유닛으로 만들 수 있다. 정다면체를 이루는 유닛은 점대칭인 것이 특징인데, 유닛을 점대칭 도형★이 되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무게중심에서 각 꼭짓점 방향으로 그은 선으로 정다각형을 나눠서(중심 ... ...
- 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공간이 보이면 그 도형을 ‘다양체’라고 하는데, 보이는 유클리드 공간이 선이면 1차원 다양체, 면이면 2차원 다양체, 3차원 공간이면 3차원 다양체라고 하거든요. 그래서 속이 빈 원환면(도넛 모양의 도형)과 구, 원기둥도 2차원 다양체랍니다. 위상수학자가 이런 다양체를 맞닥뜨렸을 때 가장 먼저 ... ...
- Part 5. [튤립 정원] 클라인 병 지도 색칠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1과 3, 4와 6이 이웃한 구역이라는 걸 염두하고 살펴보렴. 또 점 C는 구역 3과 4, 6에, 점 D는 1과 4, 6에 모두 걸친다는 걸 유념하면 이해가 될 거야. 이후 독일 수학자 게르하르트 링겔과 미국 수학자 존테오도르 영스가 클라인 병을 제외하면 히우드 추측이 모든 경우에 성립한다는 걸 증명했어 ... ...
- [과학뉴스] 100년 남극 기후 변화의 지표, 남세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확인했다. 또 7개 중 6개 덩어리에서는 ‘마이크로시스틴(MCN)’이, 나머지 1개에서는 ‘베타-N-메틸아미노-L-알라닌(BMAA)’이 검출됐다. ‘아나톡신-에이(a)’는 검출되지 않았다. MCN과 BMAA, 아나톡신-a는 모두 시아노톡신의 일종으로, 각각 다른 종류의 남세균이 만들어내는 독소다. 특히 BMAA는 그간 ... ...
- [과학뉴스] 암 진행 단계 확인 ‘지수’ 나왔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NIH) ‘팬캔서 아 틀라스(PanCancer Atlas)’ 프로젝트 연구팀은 10년간 암 33종을 대표하는 1만2000개의 유전자와 임상 정보를 분석해, 종양이 발생하는 원인과 과정을 총정리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4월 5일자에 실었다. 연구팀은 암 유전자지도를 작성하고, 암세포의 기원과 암 발생 과정, 암을 ... ...
- [과학뉴스] 달걀껍질, 병아리 나오기 직전 약해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원자힘현미경과 X선 촬영 등으로 15일간 달걀껍질의 변화를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에서 분석했다. 그 결과 달걀껍질을 이루는 탄산칼슘과 유기물을 결결합하는 오스테오포틴(OPN) 단백질을 발견했다. OPN 단백질이 많을수록 탄산칼슘으로 구성된 껍질의 구멍이 나노미터 크기로 줄어들어 .. ...
- [과학뉴스] 데나토늄 벤조에이트의 실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MSDS)에 따르면 쥐 실험에서 밝혀진 데나토늄 벤조에이트의 ‘LD50’은 584mg/kg이다. 몸무게 1kg인 쥐가 데나토늄 벤조에이트 584mg을 섭취할 경우 절반이 죽는다는 뜻이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발행하는 유해물질 데이터베이스인 ‘해즈맵(Haz-Map)’도 데나토늄 벤조에이트의 독성을 경고하고 있다. 이 ...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다보스포럼이나 CES에 선보이는 주제나 제품 및 서비스에는 주의를 기울여도 지난 1월 AMA(아메리칸뮤직어워드)에 등장한 BTS는 아이들이나 즐기는 아이돌 문화라고, 가벼운 연예 뉴스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다면 밀레니얼세대를 앞에 둔 나 자신의 인식은 어디쯤에 이르러 있는지 한번쯤은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지금보다 훨씬 간편해 진다. 이 책임연구원은 “원기는 단위가 1 kg이어서 원자 질량이나 1 mg 이하의 질량을 정확하게 재기 어려웠다”며 “새로운 측정 기술이 반도체, 나노기술 등이 발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알려드립니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국제단위계(SI ...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암호화된다. 문자도 마찬가지다. 편의상 여기서는 이진수로 변환하지 않고 설명한다. 10과 15를 동형암호로 암호화한 결과를 쉽게 말하면 각각에 매우 큰 수(비밀키)를 더한 값이다. 예컨대 10과 15를 12345라는 비밀키로 암호화한 수는 10+(12345×3), ...
이전6086096106116126136146156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