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간
한복판
central
중심
센터
뉴스
"
가운데
"(으)로 총 8,01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가 먹는 약, 장내미생물에 위협?
동아사이언스
l
2018.03.20
장내미생물 생장을 억제했다. 5%(40종)는 무려 10종 이상의 장내미생물을 죽였다. 이
가운데
14종은 단 한 번도 미생물을 죽이는 기능이 밝혀진 적이 없는 성분이었다. 연구팀은 항생제 내성과, 항생제가 아닌 인체 세포 대상 약의 내성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연구팀은 “항생제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응집물질 위상절연체로 고효율 레이저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8
Science 기묘한 연속물질이 정사각형을 이루는
가운데
, 오른쪽 상단에는 빨간 빔이 뿜어져 나온다. 이 그림이 뭘 의미하는지는 쉽게 가늠하기 어렵다. 2016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던 주제인 응집물질을 기억하는가? 당시 데이비드 사울리스 미국 워싱턴대 교수와 덩컨 홀데인 프린스턴대 교수, J ... ...
잠 들기 전 아이, 스마트폰 멀리해야 하는 이유
2018.03.18
볼더캠퍼스 제공 그 결과 밝은 빛 노출 후의 멜라토닌 수치가 어두운 조명
가운데
생활했을 때의 수치보다 88%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이 수치는 최소 50분 동안 그 상태를 유지했습니다. 사실 이 연구와 성인 연구의 직접 비교는 연구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신중해야 합니다. 하지만 ... ...
태초 특이점,블랙홀 이론...스티븐 호킹이 남긴 학문적 업적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여기서 특이점이란 물리학의 모든 법칙이 전혀 맞지 않는 시공간으로 블랙홀 한
가운데
와 같은 곳이다. 빅뱅우주론을 받아들인 연구자들조차도 태초가 시공간의 특수한 점이라는 것을 납득하지 못하고 있었다. 1983년 무경계 우주론을 제안해 특이점에 대한 설명을 내놓은 것도 호킹이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호킹은 일반인들이 관심을 가질 주제에 대해 의견을 내는 걸 주저하지 않았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시간여행이다. 호킹은 자서전에서 “시공의 배경에서 일어나는 양자요동은 미시 규모의 웜홀과 시간여행을 창조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거시적인 물체는 과거로 돌아갈 수 없을 것이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쓴 글이다. 여기서 그는 공감각과 관련된 아버지와의 일화를 몇 가지 얘기하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특히 흥미롭다. 확실히 나보코프는 과학자로서 기본이 돼 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공감각 소유자의 색 연결은 일생을 통해 일관되게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의 경우 이에 대해 ... ...
특별한 비키니를 입은 남자
팝뉴스
l
2018.03.13
웃음을 주었다. 7일 공개된 사진에는 함박 미소를 지은 두 명의 경찰관이 보이고,
가운데
에는 ‘비키니’ 상의를 입은 사람이 있다. 그런데 비키니 착용자는 남자다. 그리고 비키니는 천이 아니라 체모로 만든 것이다. 무성한 가슴털을 정교하게 면도해서 비키니 수영복 모양을 만들어낸 것이다. ... ...
아이언맨 슈트 입고 성화봉송… 올 겨울 평창은 로봇의 성지
동아사이언스
l
2018.03.13
테니스 국가대표를 지낸 이용로(
가운데
)씨가 3일 평창 패럴림픽 성화 합화식에서 웨어러블 로봇을 착용하고 성화를 넘기고 있다. 3일 오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평화의 광장.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대회 성화합화행사’에서 성화봉송주자로 전 장애인 테니스 국가대표 이용로 씨가 등장했다. ... ...
화이트데이엔 'SKY 초콜릿'으로
과학동아
l
2018.03.12
전국 전통시장과 가정집에서 김치 450종을 모았다. 여기서 분리한 5000여 개의 유산균
가운데
생존력이 가장 강한 종을 골라냈다. 이렇게 발탁된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플랜터럼 LRCC(Lotte R&D Culture Collection) 5193’이다. 이 유산균은 연구팀에 있던 한 연구원이 처가에서 가져온 김치에서 발견됐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진실을 뭉개는 가짜뉴스가 판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03.10
제공 붉은 빛 무리가 압도하는
가운데
초록색 빛이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3월 둘째주 사이언스 표지를 장식한 빛 무리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 걸까? '어떻게 거짓이 유통되는가(How lies spread)'라는 제목과 연관지어 보면, 이번 표지는 거짓(붉은색)이 진실(초록색)을 제압한 뒤 퍼져나가는 ... ...
이전
608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