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소금은 분자일까? 아닐까?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젖산칼슘, 염화마그네슘.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인기 이온음료의 성분이다. 친숙한 단어가
눈
에 띈다. 염소(Cl, 원자번호 17)와 나트륨(Na, 원자번호 11)의 화합물인 염화나트륨(NaCl). 바로 소금이다.소금은 분자일까? 인터넷 검색사이트에‘소금 분자’를 입력하면 많은 자료가 나온다. 소금을 분자라고 ... ...
바다에 이산화탄소 저장하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HDTV의 차세대 주자로 꼽힌다 특수 안경을 쓰지 않고 맨
눈
으로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핵심이다 360˚ 모든 방향에서 영상을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도 있다 회전 스크린 방식이 대표적이다지질단백질 중 콜레스테롤 함량이 가장 높고 혈관 벽에 붙어 ... ...
미래의 공학 한국, 우리에게 맡기세요!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학생들은 이미 공학자가 된 듯 구리 시편의 온도변화가 표시되는 컴퓨터 모니터에서
눈
을 떼지 못했다. 순간 잠잠하던 온도 값이 갑자 기 솟구치기 시작했다. 정 양은 자기도 모르게 소리쳤다. “바로 지금이야!”“고온의 원자로에서 임계열속의 메커니즘을 알고 그 값을 높인다면 전기 생산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생긴 상처는
눈
에 쉽게 띄기 때문에 치료하기도 쉽다.하지만 뱃속에 들어 있는 장기에 이상이 생기면 어떻게 알아낼까. 직접 열어 볼 수도 없고…. 이런 답답함을 한 방에 해결한 것이 초음파 검사다. 간단하고 시간도 얼마 걸리지 않지만 효과가 큰 초음파 검사. 어디 속 좀 한번 들여다볼까.뛰어난 ... ...
커플이 싱글보다 안전한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운전자 모두에게 치명적이다.그런데 교통사고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흥미로운 사실이
눈
에 띈다. 정면충돌한 경우 운전자 혼자 차에 탔을 때보다 보조석에 사람이 있을 때 운전자의 치사율이 낮다는 것이다. 이유가 뭘까.총을 어깨에 붙이고 쏘는 이유상황을 간단히 만들어 생각해 보자. 직선 위에서 ... ...
동요나라 과학메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엄마와 아빠를 절반씩 닮는다.동구밖 과수원길 아카시아꽃이 활짝 폈네하얀 꽃 이파리
눈
송이처럼 날리네과수원길아까시나무(아카시아는 잘못된 말이다)에 대해 잘못 알려진 것이 쓸모 없는 나무라는 것이다. 아까시나무는 다른 식물을 몰아 내는데다 번식력이 왕성해 우리 숲을 파괴하는 것처럼 ... ...
간질 간질 알레르기, 비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염증치료 연고를 사용한다.❹ 비염 환자와 결막염 환자는 항히스타민제를 먹거나
눈
에 넣는 등 증상에 따라 사용한다.❺ 오랜 기간 동안 적은 양의 알레르기 원인물질로 시작해 점점 양을 늘려 인체가 적응하도록 만드는 ‘면역요법’을 이용한다. 집먼지진드기 알레르기나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는 ... ...
화산이 폭발할 때 음악이 흐른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부분은 마치 피아노 곡처럼 들렸다”고 밝혔다.미국 조지아공대의 브루스 워커 박사는 “
눈
으로 여러 정보를 한꺼번에 보면 헷갈리기 일쑤지만 귀로 들으면 잡음 속에서도 특정한 패턴을 구분하기 쉽다”며 “이번 연구로 정확한 화산폭발 시점을 밝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현재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시대를 살았다. 그러나 그의 삶은 변혁과 도전의 소용돌이를 외면하지 않았다. 그의 두
눈
은 오직 진리의 먼 별빛을 응시하면서 예술과 과학의 역사를 헤쳐 나갔다. 그가 평생 꿈꾸던 이상은 자연이 감추고 있는 궁극의 원리였다. 레오나르도는 그의 노트에 이렇게 기록했다.“별을 붙잡고 있는 ... ...
2. 사람의 순간이동 정말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4만km라고 한다. 빛의 속도(초속 30만km)로 전송한다면 0.13초가 걸리니 이 정도면 순간, 즉
눈
깜빡할 정도의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정보 읽는데만 3억년 걸려우주선의 물체를 형체 그대로 이렇게 빨리 행성의 표면에 보내는 일이 가능할까. 우주선 안에 가만히 있는 물체를 엄청난 힘으로 가속시키고, ... ...
이전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