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d라이브러리
"
문제
"(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베리아 횡단열차 살인미수 사건①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변끼리 교차하거나 겹치는 것은 무시하고 말이야. 총 7개의 삼각형이 나오겠구나.”일단
문제
를 풀기 시작한 도형.“그런데 선생님, 왜 직각삼각형을 만들라고 하신거예요? 어떤 의미죠?”허풍은 주변을 둘러보더니 도형에게 귓속말로 속삭인다.“우리가 몰래 그곳에 들어가려고 했잖니. 그럼 누가 ... ...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바탕으로 불가능성을 명쾌하게 수학적인 논리로 논하는 풀이를 찾아내야 합니다.이
문제
의 경우에는 오목다면체도 열심히 생각해보면 실례가 존재합니다.고봉균 선생님의 풀이 ➋ 도시대항 국제수학토너먼트(TOT) 1984년 봄 중등부 A레벨 4번직각이등변삼각형을 그것과 닮은 서로 다른 크기의 ... ...
중학생 논문집 펴내는 경북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창의력은 인내할 수 있는 힘이라고도 할 수 있어요. 하나의
문제
에 대한 끈기와 참을성은 결국 인성과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밖에 없어요.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넓은 가슴과 사랑하는 마음에는 오래 참음이 필요합니다. 오래 참을 줄 아는 인성을 갖춘 사람에게는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실제 해발고도와 거의 비슷한 1700m로 표현된다.산 높이 하나가 낮게 표시되는 게 무슨 큰
문제
일까 싶지만 집중호우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이는 중대한 사고다. 바람을 맞는 면과 등지는 면에서 집중호우는 각기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산의 경사가 급할 때 대부분의 강수 현상은 바람을 맞는 ... ...
북극 빙산으로 아프리카 갈증 푼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운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해양 시설물이나 암초에 부딪히지 않도록 예방하는 안전
문제
가 가장 우선”이라고 말했다. 그가 3D 시뮬레이션에 출발지 ‘그린란드 섬’과 목적지 ‘카나리아 제도’를 입력하자 단 2분만에 북미 동쪽 해역에서 아프리카 서쪽 해역까지 이어지는 최적경로가 나왔다. ... ...
잠을 잊은 당신 건강한가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있기 때문이다. 기사 마감과 편집을 위해 종종 밤샘을 하는 기자도 일단 잘 쉬기만 하면
문제
가 없다.하지만 그 어떤 대비책도 교대근무나 시간외 근무를 하지 않는 것보다는 건강에 나쁘다. 김인아 교수는 ‘좋은 교대근무란 없다’는 캐나다 국립산업안전보건센터의 지침을 소개했다. ... ...
디노라이트 USB 현미경 AM-2011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만드는 것과 같은 준비 과정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디노라이트 USB 현미경’은 이런
문제
를 말끔히 해소했다. 컴퓨터 USB 단자에 꽂은 현미경을 물체에 대고 컴퓨터 모니터로 보면 끝이다.국제 특허를 받은 제품으로, 교과서에도 실렸다. 한 손에 쏙 들어가는 아담한 크기지만 성능은 고급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유압 공급 장치가 크고 무거워 실험실 안에서만 움직이는 걸로 만족했다.생기원은 이런
문제
를 개량해 구동장치를 EHA라고 불리는 작은 유압식 엑추에이터로 바꾸고, 배터리와 연결해 3시간 동안 움직일 수 있는 하이퍼2를 2010년 개발했다. 하이퍼1에 비해 힘은 조금 약하지만 야외에서 활동할 수 있는 ... ...
꿈이 있어야 구체적인 길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지금부터 영어와 수학은 더욱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아직까지는 성적에 크게
문제
가 없지만, 앞으로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해. 단기 암기를 잘하는 학생들은 뒤로 갈수록 내공이 부족해지거든. 금세 잊어버려도 여러번 반복해서 충분히 외우고 자기 것을 만드는 과정을 거치도록 해.” 독창적이고 ... ...
실험실 밖 세상의 화학 탐구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반응 결과를 정량화하는 데 성공했으면 더욱 알찬 결과를 이끌어냈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
를 인식한 뒤 탐구 계획을 수행하고, 피드백을 거쳐서 결론 도출까지 나아가는 과정에서 이 학생들은 탐구의 즐거움을 충분히 깨달았다. 과학은 알고 있는 지식들을 이용해 세상을 설명하려는 시도이다. 그 ... ...
이전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