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계속 보시려면?미로 탈출의 명수를 찾아라!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기호 5 예술가의 고뇌와 닮은 미로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미로를 체험하러 떠나요~ ... ...
기호 5 예술가의 고뇌와 닮은 미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계속 보시려면?미로 탈출의 명수를 찾아라!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기호 5 예술가의 고뇌와 닮은 미로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미로를 체험하러 떠나요~ ... ...
미로를 체험하러 떠나요~!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계속 보시려면?미로 탈출의 명수를 찾아라!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기호 5 예술가의 고뇌와 닮은 미로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미로를 체험하러 떠나요~ ... ...
난제에 영웅 난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소리다. 그런데 ‘난세’에만 영웅이 있는 게 아니라 ‘난제’에도 영웅이 있다는데…,
바로
수학의 영웅 이야기다. 우리의 수학 영웅들은 지금도 수학의 난제, 즉 오랜 세월 동안 수없이 수학자를 좌절시킨 어려운 문제와 싸우며 비밀을 한 꺼풀씩 벗겨 내고 있다. 지금부터 굳게 잠긴 자물쇠를 열고 ... ...
밀레니엄 문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양-밀스 이론은 수학적으로 완성되지 않았다. 양-밀스 이론을 수학적으로 완성하는 것이
바로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다.4. 내비어-스톡스 방정식내비어-스톡스 방정식은 배의 주위를 흐르는 물이나 비행기의 날개 옆으로 흐르는 공기의 움직임과 같은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식이다. 하지만 내비어 ... ...
내 돈을 안전하게 지켜라!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위험에 대한 분석을 총괄하는 사람은 매일 특정한 수치로 위험을 점검한답니다.
바로
‘바(VaR)’라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투자한 자산의 바값이 1억 원이라는 말은 앞으로 10일 동안 1억 원 이상의 손실이 발생할 확률이 1%라는 말입니다. 99%의 확률로 1억 원 이상의 손실을 보지 않는다는 말과 같지요.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전문가들을 만나 조사한 결과, 최신 레이저 연구는 대략 세 분야로 나눌 수 있었다.
바로
출력과 스피드, 크기이다.현재 레이저를 연구하는 물리학자들은 전 세계에서 순간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는 전력에 맞먹는 고출력 레이저와 100경 분의 1초의 속도로 빛을 뿜어내는 레이저, 머리카락보다 작은 ... ...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출현하는 것을 주의 깊게 관측했다. 이런 관측 기록은 삼국사기에 상당수 남아 있는데,
바로
이번 관측에서도 신라시대의 천문관원들이 중요시했던 천문현상을 그대로 관측하고 당시 사람들이 적용한 점성술로 천문현상을 해석해보고자 했다.날씨가 나빠 직접 관측하지는 못했지만, ... ...
한국 최초 식물공장 가동 시작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안 이사는 “법률 때문에 포장지에 표시할 수는 없지만 여기서 재배된 채소는 씻지 않고
바로
먹어도 된다”며 “앞으로 도심 곳곳에서 식물공장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소비되는 장소와 가까운 곳에서 채소를 재배해 공급하는 친환경적인 지역 음식(local food)의 대표주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국내 최대 공룡알 화석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위에 무거운 퇴적물이 쌓이고 쌓인 후에도 둥근 모양으로 발견될 수 있는 걸까? 정답은
바로
퇴적물 덕분이야. 공룡알 위로 퇴적물이 쌓이면 퇴적물의 무게 때문에 알껍데기에 금이 가게 돼. 하지만 이 때문에 오히려 공룡알이 둥근 모양으로 남아 있을 수 있단다. 알에 금이 가면 알을 채우고 있던 ... ...
이전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