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뉴스
"
볼
"(으)로 총 6,949건 검색되었습니다.
IT가 이끄는 제3의 물결… 산업의 경계 허물다
동아일보
l
2014.11.27
제품의 기능은 크게 1)모니터링 2)제어 3)최적화 4)자율화 등 네 가지 단계로 나눠
볼
수 있다. 각 기능 영역은 전 단계 기능을 토대로 구현된다. 즉, 제품이 제어 기능을 갖기 위해선 반드시 모니터링 기능도 있어야 한다. 가장 기본적인 ‘모니터링’은 센서와 외부 데이터를 활용해 제품의 상태나 ... ...
생활 속에 숨어있는 수학을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14.11.26
보형 형식이 갖는 대칭성에 대한 그림 - 한국연구재단 제공 보형 형식은 타원 함수의 형태로 등장하며 19세기 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디리클레의 업적에 타원 ... 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트위터 ‘금과터’(@sciencetouch)를 팔로우(follow)하면 매주 최신 강연소식을 받아
볼
수 있다. ... ...
광대역에서 빛의 편광 자유자재로 조절
2014.11.25
사진기나 안경렌즈 등에도 일부 쓰이는 기술로 빛의 방향을 제어하면 더 또렷한 영상을
볼
수 있다. 이 기술을 광통신 등에 적용하면 지금보다 훨씬 더 빠른 통신망 구축도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민범기 KAIST 기계공학전공 교수팀은 메타물질을 이용해 빛의 편광을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 ...
심장질환 걱정된다면 이 ‘반창고’ 붙이세요
2014.11.24
어려웠다. 연구팀은 곤충의 더듬이에 돋은 융털 구조를 모방한 소자를 개발해 흔히
볼
수 있는 반창고 모양의 소자 안에 집어넣었다. 곤충이 주변 환경 변화에 민감할 수 있는 까닭은 더듬이의 융털이 매우 민감한 센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연구진이 이 융털 구조를 모방해 반창고 모양의 ... ...
인간과 인간의 교집합은 생쥐?
2014.11.23
네이처 제공 학창시절 수학교과서 속 집합 단원에서
볼
수 있는 벤다이어그램. 이 벤다이어그램이 이번 주 ‘네이처’ 표지를 장식했다. 표지 속 벤다이어그램에서 두 집합은 사람의 머리를 형상화했다. 또 두 집합이 겹치는 부분인 교집합은 쥐로 나타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교집합은 쥐라는 ... ...
포화지방은 ‘나쁜지방’ 아니에요~
2014.11.23
당뇨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는 혈장 팔미톨레산 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볼
렉 교수는 “모두에게 평소 먹던 양보다 2배 정도 많은 포화지방을 먹게 했지만 오히려 혈중 포화지방산 농도가 낮아지는 경우도 있었다”며 “소고기와 돼지고기에 들어 있는 포화지방이 무조건 몸에 ... ...
사람 살리는 쥐(GEM)의 독백
2014.11.21
죽는 지는 다른 동물로도 알 수 있다. 하지만 나이가 드는 과정과 병의 증세까지
볼
수 있는 동물은 우리밖에 없다. 그래서 몸값이 엄청 비싼 친구도 있다. 일본 출신의 ‘폴리오바이러스 리셉터’는 몸값이 940만 원이나 된다. 이 녀석의 쌍둥이들은 매년 2만 마리가 태어난다. 한동안 세계는 나 ... ...
[청년드림/인터뷰]3D 프린터 전문업체 후나인쓰리디피 이정훈 대표
동아일보
l
2014.11.19
곧 누군가(자신) 부족한 원(1)을 채워 꿈을 완성할 것이란 뜻을 담았다. 회사 간판을
볼
때마다 항상 도전 정신을 기른다”며 엄지손가락을 세웠다. 올해 6월 창업한 이 회사는 115m² 작업실에서 시제품 제작으로 바쁘게 돌아가고 있다. 3D 프린터를 활용해 유아 기념품을 만들고 있다. 디자이너가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공간의 그 막막한 느낌(인간의 지각으로는 사실한 무한의 공간)을 스크린으로나마 느껴
볼
수 있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영화에서는 지구를 떠난 우주선이 어느새 토성 부근에 도착하고 이곳에 있는 ‘웜홀’을 통해 다른 은하로 넘어간다. 물론 SF영화에서 다큐멘터리 수준의 뭔가를 ... ...
과학은 우울증의 안개를 걷어낼 수 있을까
2014.11.16
사기도 많이 저하된 상태다. 연구비 투자도 부족할 뿐 아니라 다른 질병처럼 실험해
볼
동물 모델을 만들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실험용 쥐에게 암세포를 이식하면 암에 걸리지만 쥐가 우울증에 걸리게 하는 신뢰할 만한 방법은 없다. 현재로서는 물에 빠뜨린 뒤 얼마나 필사적으로 물 밖으로 ... ...
이전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