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703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변이 15분만에 구분하는 진단키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검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화학·분석 분야 국제
학술
지 ‘바이오센서 앤드 바이오일렉트로닉스’ 지난 1월 29일자 게재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에 앞서 지난해 7월 ACE2를 이용한 신속진단 기술을 웰스바이오에 기술이전했다. 화학연과 웰스바이오는 ... ...
국내 연구진, 성범죄 악용 마약 '물뽕' 탐지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개척의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18일 국제
학술
지 ‘바이오센서스 앤드 바이오일렉트로닉스’에 실렸다. 연구팀은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를 위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도 GHB 감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뇌종양 '등급' 따라 생존기간 최대 20배까지 달라져"
연합뉴스
l
2022.04.04
가천대 길병원 신동원 교수 "두개 외 전이속도도 차이" 고립성 섬유종(SFT) 및 혈관주의세포종(HPC) 등 뇌종양이 '등급'에 따라 생존 기간이 최대 20배까지 ... 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말 국내에서 개최된 '제6차 세계신경종양학회
학술
대회'에서 발표됐다. [연합뉴스TV 제공] ... ...
중국, 과학논문 양과 질에서 미국 앞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피인용 최상위 1% 논문 수를 국가별로 비교했다. KISTI 내부 연구용으로 도입한 글로벌
학술
정보기업 ‘클래리베이트’의 ‘웹 오브 사이언스(Web of Science)’를 활용했다. 분석 결과 2017~2019년 피인용 최상위 1% 논문 수 기준으로 ‘물리과학 및 공학’, ‘수학 및 컴퓨터과학’ 분야에서 중국은 ... ...
인간 유전체 풀리지 않던 '8% 빈칸' 모두 채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연구기관 과학자 114명으로 구성된 ‘텔로미어 투 텔로미어(T2T)’ 컨소시엄은 31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DNA 염기쌍 30억쌍을 완벽히 해독한 인간 유전체 정보를 공개했다. 텔로미어는 염색체 양 끝에 있는 말단 염기서열로 T2T는 유전체 전체를 뜻한다. ○유전체 읽는 새 안경 쓴 것과 같은 ... ...
화성에선 5m만 떨어져도 대화 어려워..."지구 음속 3분의 2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로버 ‘퍼시비어런스’가 녹음한 소리를 분석해 이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1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난해 2월 화성에 착륙한 퍼시비어런스의 마스트캠에 장착된 마이크 ‘슈퍼캠’에 녹음된 소리를 분석했다. 퍼시비어런스는 화성에 착륙한 이후 화성의 바람소리와 ... ...
헤니파바이러스 단백질 구조 찾아 백신 개발까지 이어질까
과학동아
l
2022.04.04
감염에 핵심 역할을 하는 G단백질의 구조와 숙주가 결합하는 원리를 밝혀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ence.abm5561 헤니파바이러스의 표면에는 숙주 세포에 달라붙는 G단백질과 침투에 관여하는 F단백질이 존재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G단백질이 바이러스의 표면에서 ... ...
"5세 미만 어린이, 델타보다 오미크론 입원·중증 가능성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4.03
세 미만 어린이들의 의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1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미국의학회지 소아과’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1월까지 미국 의료기관을 방문한 5세 미만 어린이 65만1640명의 전자기록을 분석했다. 코로나19에 감염된 이후 14일 간 어린이 ... ...
[표지로 읽는 과학]인간 유전자 서열 마지막 8% 조각을 맞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3
인간 유전자 서열의 마지막 퍼즐을 맞추며 비로소 인간 유전자 지도가 완성됐다.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1일 발간한 최신호에 이를 표지논문으로 다뤘다. 표지에 그려진 23개 흰색 줄을 X염색체와 1번부터 22번까지의 염색체를 표현한 것이며, 이 중 빨간색 영역이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진 마지막 ... ...
[프리미엄 리포트] 오미크론, 팬데믹의 마지막 주자일까
과학동아
l
2022.04.02
코로나19 완치자들이 가진 T세포가 10개월 이상 유지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423-022-00838-5 이처럼 오미크론 변이 혹은 그 다음을 대비하기 위해 현재의 백신을 대체·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활발하다. 그럼에도 분명한 사실은 “현재의 ... ...
이전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