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숨 걸고 경고음 내는 땅다람쥐
과학동아
l
200310
보여줬죠. 딱 한가지 예만 들겠습니다. 캐나다의 진화사회심리학자 데일리와 윌슨
교수
는 1974-1983년 동안 캐나다에서 일어난 자식 살해 사건들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계부모에 의한 자식 살해 위험이 친부모에 의한 위험보다 엄청나게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죠. 두살 이하 아기의 경우에는 무려 7 ... ...
정액이 난소암 막는다
과학동아
l
200310
동안 실험한 결과 난소암 세포는 81% 이상 죽은 반면 정상 세포는 37% 정도만 죽었다.배
교수
는 “시자르는 난소암 세포에서 종양억제유전자를 증가시키며 암세포가 스스로 죽는 ‘세포자살’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11월 미국암연구학회, 미국국립암협회 ... ...
소만한 크기의 쥐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310
종과 비교·분류하기 위해 지금까지 발표를 미루고 있었다.영국 리즈대의 닐 알렉산더
교수
는 “우르마코 지역은 현재의 건조하고 메마른 환경과는 달리 중신세(약 2천4백만년-5백만년 전)에는 쾌적하고 식물들이 풍부한 지역”이었다며 “이런 환경에서 패터스니 같이 몸집이 커 도망치기 힘든 거대 ... ...
갈릴레오호의 탐험 역사
과학동아
l
200310
화학자 발보 태생 웁살라 대학을 졸업하고 모교에서 연구를 계속했으며, 1912년에는
교수
가 되었다 자기장 속을 운동하는 하전입자의 각 운동량 벡터는 자기장 방향의 성분이 특정하게 불연속적인 값을 갖도록 방향을 잡는다는 방향양자화를 증명한 최초의 실험 소립자를 특징짓는 정수값을 가진 ... ...
1 인간의 사고가 오류투성이인 이유
과학동아
l
200310
대해 전혀 다른 판단과 결정을 한다. 미국 프린스턴대학의 인지심리학자 다니엘 카네만
교수
는 이런 인간 판단과 결정의 비합리적 특성을 연구하고, 특히 경제 상황에서 인간 사고의 비합리성을 집요하게 밝혀냈다. 그는 이 업적을 인정받아 2002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이 외에도 수많은 연구들이 ... ...
한국인 행복 사이즈 실현하는 Size Korea
과학동아
l
200310
제품을 만들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바로 인간공학의 몫이기 때문이다. 또한 최
교수
는 “과거에는 제품을 디자인할 때 불편함이나 위험을 줄이는 측면에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이제는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설계하는 추세다”라고 강조한다.가구를 만들 때도 ... ...
정보통신에 뿌리내리는 한글
과학동아
l
200310
‘디스커버’ 6월호에 발표했다. 미국 시카고대 맥콜리
교수
와 독일 함부르크대 삿세
교수
같은 세계적인 언어학자들도 한글의 창제원리에 놀라며 그 조직성과 과학성에 대해 최고의 찬사를 보내고 있다.손전화 발달의 숨은 공로자인류의 문화는 크게 네 차례의 변혁이 있었다. 그 변혁의 요소로서 ... ...
압력솥 온도 견디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309
증식도 하는 초내열성 미생물이 발견됐다. 미국 메사추세츠대 미생물학과 러브레이
교수
팀은 태평양 심해 열수분출구 주변에서 채집한 미생물이 압력솥 내부의 온도인 1백21℃에서도 살아갈 수 있다고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8월1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 미생물에게 ‘변종 121’이라는 ... ...
밤하늘 별은 7천억의 1천억배
과학동아
l
200309
우주의 어두운 미래에 대한 연구를 소개했다. 영국 에든버러대의 앨런 헤븐스
교수
가 가까운 은하 4만개를 관측해 별빛을 분석한 결과, 60억년 전에 별들의 탄생이 최고조를 이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우리 태양도 60억년 전쯤에 태어났다.이 연구결과는 오래된 별들은 죽고 새로운 ... ...
꼬마 소금쟁이가 물위에서 걷는 비결
과학동아
l
200309
실제와 똑같은 것은 아니지만 같은 원리로 작동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부시
교수
는 앞으로 소금쟁이와 같이 물과 공기의 경계에서 활동하는 생물체를 계속 연구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물과 공기 각각의 유체 속에서 생물체의 움직임은 많이 연구돼 왔지만 표면장력이 지배하는 세계는 완전히 ... ...
이전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