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계 닮은 외계 행성계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5호
- 닮은 외계 행성계를 발견했다는 소식입니다. 우리 은하계 중심쪽으로 약 5000광년 떨어진 곳에서 발견된 외계 행성계에는 태양 절반 정도의 질량을 가진 중심별(OGLE-2006-BLG-109L)이 있어요. 이 중심별 주위에 질량이 목성의 0.71배와 0.27배 정도인 두 행성이 있고, 이 두 행성은 중심별에서 각각 지구-태양 ... ...
- 너에게 주고 싶은 달콤함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5호
- 조심하면서 녹은 설탕을 꺼낸 뒤 30초 정도 살짝 식혀 주세요.❹ 알루미늄 호일을 평평한 곳에 깔고 손잡이가 될 이쑤시개를 놓은 뒤 설탕물을 적당히 부어 주세요.❺ 작은 별사탕을 뿌리고 굳은 뒤 떼어 내면 막대사탕 완성!어때? 사랑 담긴 사탕 만들기, 정말 쉽지? 나도 달코미에게 직접 만든 사탕을 ... ...
- PART2 우주에 떨친 알파우먼 파워과학동아 l2008년 05호
- 다른 나라 우주인과 친분이 두터웠던 이 씨는 미국 우주인 숙소에 자주 놀러 갔는데, 그곳에서 윗슨을 처음 만나 남성 우주인들을 휘어잡는 강렬한 카리스마에 흠뻑 빠졌다고 한다.이 씨가 윗슨을 가장 존경하는 우주인으로 꼽으며 따랐고, 윗슨은 초보 우주인인 이 씨를 많이 챙겨주며 이끌었다. ... ...
- 우주여행 꿈꾸는 사람들의 무한경쟁과학동아 l2008년 05호
- 친숙한 비행기 형태의 우주여행용 비행체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개발에 몰두하는 곳이 바로 미국이다.하지만 미국에는 우주비행체 개발 업체에 비해 로켓 엔진 개발 업체의 수는 적은 편이다. 로켓 엔진을 개발하는 데 드는 막대한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미국은 전통적으로 ... ...
- 1. 고유가 시대 기대주 오일 샌드과학동아 l2008년 05호
- 개발설계팀 정대연 팀장은 “일본은 이미 1970년대부터 오일샌드에 눈을 돌려 현재 10여 곳의 지분을 갖고 있다”며 “이번 오일샌드 광구 개발을 통해 중질유(重質油) 생산 기술과 경험을 쌓아 추후 광구 확보에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에너지 블랙홀’로 불리는 중국, 인도 같은 ... ...
- 미래 조명 2008 유럽디자인 대회과학동아 l2008년 05호
- (iSign)디자인 : 장 마리 두띠유 | 규격 : 146×8(지름)×11(지름)cm지하철역, 주차장, 차고 같은 곳에 실외 조명으로 달기 좋다. 물병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은 사실 수학적으로 매우 정확하게 계산됐다. 공간 (Space)디자인 : 하산 에르튀르크, 데케&리히트 AG규격 : 30(지름)×12.5cm조명 : 하나에 광원도 2개, ... ...
- 디지털로 되살아난 페르세폴리스과학동아 l2008년 05호
- 그리스식 복장을 한 이오니아인, 고수머리가 사실적으로 묘사된 이디오피아인 등 세계 곳곳에서 온 사신들이 궁전 입구 ‘만국(萬國)의 문’에 줄지어, 페르세폴리스의 주인 다리우스 황제를 알현하기 위해 꼿꼿이 서 있는 조각도 인상적이다. 그리스 반도와 지중해를 건너 인도에 이르기까지 무려 ... ...
- '궁극의 회로선폭' 0.3nm에 도전한다과학동아 l2008년 05호
- 턱에 나란히 붙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금속 원자가 실리콘 원자와 접촉하는 면이 많은 곳에서 안정되기 때문이었다. 더 나아가 계단을 만들지 않고도 금속 원자가 실리콘 원자를 치환해 한 줄로 늘어서게 하는 방법도 개발했다.하지만 이를 반도체 회로로 활용할 수 있으려면 넘어야 할 벽이 하나 ... ...
- 3. 고품질 바이오석유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08년 05호
- 즉 바이오에탄올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미국에서만도 32만km에 이르는 석유수송관, 17만 곳의 주유소, 자동차 2억4300만 대의 엔진을 바꿔야하는 문제가 있다.반면 미생물이 당분을 먹고 석유, 즉 탄화수소를 만들어내면 생산과정이 훨씬 단순해진다. 기름은 물과 섞이지 않기 때문이다. 인공균주는 ... ...
- BT+IT+NT 삼박자 갖춘 '똑똑한 폰'과학동아 l2008년 05호
- 약물이 약효를 내는 곳은 병과 관련된 단백질의 기능을 무력화시키므로 약효가 없는 곳과 색이 달라진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연구단 정봉현 단장팀은 현재 항암작용에 관련된 약물을 찾고 있다. 과거에는 샘플을 각각 실험해야 했으나, 스마트 칩을 이용하면 최소 126개의 약물을 한 ... ...
이전6106116126136146156166176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