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뉴스
"
결과
"(으)로 총 26,66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이미지만 봐도 줄기세포 상태·변이 분석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3.04.27
바이오의약품 개발이 더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인텔리전트 시스템스’에 17일 온라인 게재됐다. CNN 알고리즘 흐름도. 고려대 제공 CNN 훈련으로 세포 배양 조건과 유전자 변이에 따른 줄기세포 상태를 구분한 연구
결과
. 고려대 ... ...
주변물질 빨아들이며 만들어지는 '블랙홀 부착원반' 최초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4.27
최초로 직접 영상화해 존재를 증명했다는 점에서 블랙홀 연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는
결과
”라며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막대한 에너지를 분출시켜 블랙홀로부터 멀리 떨어진 별과 은하의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라고 ... ...
"임신 초기 고지방 음식 먹으면 아이는 짠음식 선호"
동아사이언스
l
2023.04.27
식단을 섭취한 쥐 그룹에서 태어난 어린 쥐는 특별한 선호도를 보이지 않았다. 분석
결과
임신 중 고지방 식단을 실시한 쥐 그룹에서 태어난 어린 쥐들은 짠맛을 감지하는 감각세포인 미뢰와 단백질이 대조군에 비해 풍부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이 쥐들은 미뢰와 단백질을 증가시키는 AT1 유전자가 ... ...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청소 기대주…'해파리 로봇'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3.04.26
유영법을 참고해 미세한 해양쓰레기를 모으고 운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험
결과
젤리피쉬봇은 유사한 크기의 다른 해양쓰레기 청소용 로봇보다 높은 효율을 보였다. 초당 최대 6.1cm를 이동하며 10밀리와트(mW)의 전력으로 움직였다. 연구팀은 젤리피쉬봇이 실제 해저에서 활약하기 ... ...
원안위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자체 분석
결과
, 방류 전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3.04.26
규제기관 검토 과정 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겠다는 입장이다. 임 사무처장은 “검토
결과
문제점이 발견되면 일본규제위원회에 항의하고 승인 과정에서 제대로 확인이 이뤄졌는지 여부에 대해 분명히 이야기할 것"이라 말했다. ... ...
연료전지 표면 미세결함 실시간으로 찾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3.04.26
추가로 학습시켰다. 적은 양의 데이터 학습만으로도 응용력을 갖춰 3D 형상 측정
결과
2D 검사로는 판별이 어려웠던 샘플 표면의 찍힘과 스크래치가 단 한번의 촬영으로 감지됐다. 김영식 KRISS 광영상측정표준팀장은 “이번 기술을 활용하면 연료전지 금속분리판의 다양한 불량과 결함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봄철 황사·미세먼지는 ‘중국발’?
2023.04.26
기상 현상 습도가 매우 낮은 건조지대에서는 수증기에 의한 온실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결과
적으로 건조지대에서 대기의 특성은 시시각각 돌변할 수밖에 없다. 수시로 고기압과 저기압이 만들어지고 사라지는 불안정한 상태가 반복된다. 그런 과정에서 미국의 토네이도와 같은 강한 상승 기류를 ... ...
뱃속 태아 VR로 보여주니..."산모, 태아와의 유대감 강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26
관찰할 수 있게 하여 태아와의 유대감 형성과 마음건강에 기여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지난 3월 국제학술지 ‘의학인터넷연구학회지’에 게재됐다. 분당서울대병원 ... ...
삼성서울병원·분당서울대병원 등 의사과학자 양성 6개 기관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3.04.26
Ph.D.) 간 공동연구를 지원한다. 전국을 6개 권역으로 나누어 공모와 평가를 실시한
결과
서울 권역에서는 삼성서울병원, 인천·경기 권역에서는 분당서울대병원, 대구·강원·경북 권역에서는 한림대 산학협력단, 대전·세종·충남·충북 권역에서는 단국대 의과대학부속병원, 부산·울산·경남 ... ...
수면 중 뇌혈류 증가 원인 찾았다...수면장애 해결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3.04.26
빛을 쬐어 세포나 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하는 ‘광유전학’ 기술을 활용했다. 그
결과
PV 뉴런이 수면 중 뇌 혈류 증가를 일으키는 원인임을 확인했다. PV 뉴런이 활성화된 동안 뇌 혈류가 감소했고, 비활성화 땐 뇌 혈류가 증가했다. PV 뉴런은 억제성 뉴런 중 하나로 다른 억제성 뉴런들과 다르게 ... ...
이전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