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준
견본
척도
규범
규격
본보기
규칙
뉴스
"
기준
"(으)로 총 8,89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정아의 닥터스] "가습기살균제 끝까지 추적해야 피해자 줄일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대한 판정
기준
을 호흡기학회에서 정한 그대로 활용해야 할지에 대해 고민이 많다. 현재
기준
으로 보면 가벼운 천식을 앓는 사람도 많기 때문이다. 가벼운 천식 증상처럼 보이더라도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피해를 인정받을 수 있게 의학적인 증거를 찾고 있다. 폐섬유화증도 마찬가지다. ... ...
[주말N수학] 화학 아는 수학자가 만든 '주기율표'
수학동아
l
2019.09.21
있습니다. 지금 배우는 주기율표는 1860년대에 알고 있던 화학 반응과 화학 결합을
기준
으로 만든 시스템입니다. 그런데 그때보다 훨씬 더 많은 화학 반응과 화학 물질이 발견된 지금도 주기율 시스템이 그대로일까요? 그런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싶습니다. Q. 만에 하나 멘델레예프를 ... ...
멸종 데니소바인에게서 받은 유전자가 면역력 강화
연합뉴스
l
2019.09.20
발리와 롬복 사이를 지나는 오스트레일리아구와 동양구를 나누는 경계인 월리스선을
기준
으로 동쪽에 거주하는 원주민에게서 주로 발견됐으며 일반 주민들 사이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고 한다. 이 변이는 시베리아 알타이산맥의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된 데니소바인 소녀의 손가락 화석에서 ... ...
원안위-서울반도체 피폭 허용치 초과 여부 두고 공방
동아사이언스
l
2019.09.19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원안위는 “현장조사 결과 확인된 피폭자는 7명”이라며 “19일
기준
까지 진행한 추가조사에서 피폭자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원안위는 작업자의 피폭 정도를 10월에 확정할 예정이다. 원안위는 “구체적 피폭선량은 작업자의 작업형태와 작업기간, 작업방법을 ... ...
한국 의학계열 졸업자 인구 10만명당 7.6명…OECD 최하위권
연합뉴스
l
2019.09.19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보건복지부의 'OECD 보건의료통계 2019'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한국의 의학 계열 졸업자는 인구 10만명당 7.6명으로 OECD 평균(12.6명)보다 5.0명이나 적었다. 2012년과 견줘서 의학 계열 졸업자는 OECD 회원국 대부분은 늘었지만, 우리나라는 0.4명이 줄었다. 2012년과 비교해서 OECD ... ...
당뇨병 걸릴 위험 높은 직업은 제조업 노동자·운전기사·환경미화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9.18
발생하기 쉬운 특정 직업군이 있음이 밝혀졌다. 스웨덴 전체 노동 인구에서 2013년
기준
당뇨병 환자 비율은 4.2%(남성 5.2% 여성 3.2%)였다. 그런데 남성의 경우 제조업 근로자(7.8%)와 운전기사(8.8%) 등 특정 직업군은 당뇨병 발생 위험이 높았다. 이외에도 농업이나 간병, 운송배달업에 종사하는 남성에게 ... ...
"과기부 산하 출연연 5년간 특허기술 이전율 39%"
연합뉴스
l
2019.09.18
윤상직 의원실 제공 특허 등록 뒤 5년 이상 활용되지 않은 미활용 특허는 올해 7월
기준
총 4천150건에 달했다. 미활용 특허 유지비로 24개 출연연은 5년간 총 64억원을 쓴 것으로 집계됐다. 특허가 많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미활용 특허 유지비로 가장 많은 13억원을 지출했고, ... ...
신용현 "라돈 제품, 빠르고 안전한 수거시스템·수거 제품 처리 방안 만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9.17
아이들의 피부와 호흡기에 닿는 유아용 베개 등이 포함돼 있으며 일부 제품은 안전
기준
의 30배를 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여전히 라돈 안전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수거 명령이 내려져도 제품 수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도 지적했다. 신 의원은 “판매된 8149개 ... ...
생존력 강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이번에는 한국 덮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7
국경검역을 강화해 왔다. 주변국 8개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건수만 이달 9일
기준
6372건에 달한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바이러스의 생존력이 매우 강하다. 동물 간 전파되는 것뿐 아니라 돼지고기를 통해서도 전파된다. 냉장육이나 냉동육에서도 최대 수년간 생존이 가능하다. ... ...
IAEA 한국 대표단 "방사능 오염수는 전세계 해양에 영향 주는 중대 이슈"
2019.09.17
추진할 것을 주장했다. 문 차관은 "국제사회가 안전하다고 확신할 만한 원전 오염수 처리
기준
과 방안을 마련해야한다"며 "오염수에 대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연설에서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도 언급했다. 문 ... ...
이전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