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생명체 곰삭이는 자연의 분해자: 버섯은 곰팡이 일종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경우 입안을 제외하곤 곰팡이가 거의 살지 못한다. 즉 대부분의 곰팡이는 몸에서 잠시 머
물
렀다 사라질 뿐이다.우선 피부는 건조한 탓에 곰팡이가 살기에 적당치 않다. 어쩌다 음식과 함께 몸에 들어와도 위에서 위산에 녹아버린다. 공기가 거의 없는 장에서는 더 말할 나위 없다. 박테리아와 달리 ... ...
커피가 가득한 잔에 설탕을 넣으면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다음 두 학생의 대화를 듣고 커피가 가득찬 컵에 설탕을 넣으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자."설탕도 일정한 부피를 차지하니까 넘치는 게 '당근이지'(당연하지 ... 5% 설탕
물
의 부피는 100g/1.108 =98.23mL가 된다. 즉 설탕 5g이 모두
물
에 녹게 되면(5%의 설탕
물
이 되면) 그 부피가 0.09mL만큼 늘어난 ...
효소라는 이름의 촉매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이뤄진다. 이 효소에 의해 반응속도는 1천만배로 가속돼 매초 10만개의 탄산분자에서
물
을 빼앗아 이산화탄소로 바꾸든지 그 반대로 탄산을 만들어낸다. 반응속도가 이렇게 빨라지는 것은 효소가 활성화에너지를 작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반응이 일어나려면 일정한 에너지 이상을 가진 분자들끼리 ... ...
필름통으로 만든
물
온도계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했다.온도계에서 중요한 점은 일관되게 온도를 표현해야 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물
온도계의 문제점은 기압에 영향을 받는다. 날씨가 맑은 날과 비오는 날에 따라 변하는 대기압에 의해 측정하는 온도가 다르다면 정확한 온도계라고 할 수 없다.현재 사용하고 있는 온도계에는 알코올 온도계와 수은 ... ...
곤충이 범인을 잡는다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구더기를 조사해 희생자가 어떤 약을 먹었는지 알아볼 수가 있다. 곤충의 유충은 약
물
에 따라 특이한 생태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 어떤 종류는 코카인을 많이 먹으면 성장이 가속화된다.검정파리가 시체의 어느 부위에 모이는가를 살펴보면 사망원인을 알아내는데 도움이 된다. 검정파리는 상처 ... ...
자석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등이 그 예다. 또 자석은 우리의 생활을 더욱 풍요롭게하는 자기부상 열차에 쓰이고,
물
질의 근원을 알아내는데 필요한 가속기에도 쓰인다.전철카드 : 전철카드나 전화카드의 자석띠에는 자화된 바코드가 있다. 전철카드 위에 미세한 철가루를 뿌리면 바코드의 정보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석에 ... ...
과학원리의 만
물
상 자동차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자동차의 기원을 바퀴 달린 탈것에 초점을 맞춘다면 6천년 전의 메소포타미아 지역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사람이나 동
물
의 힘을 이용하지 않고 스스로 움직인 ...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홈이 나 있지 않다면 도로와 바퀴 사이에 얇은
물
의 층이 생기는 수막 현상이 더 심해진다 ... ...
베르누이가 말한다.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비치볼을 준비해도 된다. 헤어드라이어를 켜고 바람이 나오는 곳에 풍선을 갖다대본다.
물
론 헤어드라이어 끝에 붙이는 것은 아니다. 풍선에서 손을 떼보자.여전히 풍선이 떠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왜 그럴까. 이유는 지금까지 설명한 것처럼 풍선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속력이 빠르기 때문에 ... ...
금 이야기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어른 한 손에 24개가 잡히는데, 이곳 사람들은 이를 기준으로 금이나 소금 등 작고 가벼운
물
건을 교환할 때 척도로 삼았다. 순도 99.99의 순금을 24K로 표시하는 것이 바로 여기에서 따른 것이다.순금은 장신구용으로는 그리 단단치 못하다는 약점이 있다. 그래서 한두가지의 다른 금속들과 섞어 쓰게 ... ...
정월대보름의 계수나무와 옥토끼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됐다.마음 속의 계수나무그러나 우리가 달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그리 많지 않다. 달에
물
이 있는지, 달에 생명체가 사는지 아직 알지 못한다. 달이 지구의 동반자가 된 내력에 대해서도 그렇다. 최근까지 달 생성에 관해 여러 가지 가설이 나왔으나 무엇 하나 흡족한 것이 없다. 미국과 옛소련이 ... ...
이전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6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