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상화 관상법으로 선조 질환 밝힌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살아가고자 했던 의지와 자신의 뜻을 좀처럼 실현하지 못한 선각자의 쓸쓸한 고독이 이
작은
화폭에 완벽하게 담겨 있는 것이다. 한국 회화사상 최초의 자화상인 이 그림은 우리나라 초상화 중 최고 걸작으로 손꼽혀 회화로는 드물게 국보로 지정되기도 했다. 조선은 진정한 능력 위주 사회이교수는 ... ...
경상도 지층 속 공룡의 자취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한다. 마지막으로, 통영시 도산면 국도의 공룡알 화석지를 들렀다. 이곳에서도 탐사의
작은
성과가 있었다. 새로운 공룡알을 발견했던 것이다.넷째 - 다섯째날 동굴안 선녀탕 돌개구멍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에 위치한 국내 최대 공룡화석지인 상족암을 찾아가기 위해 오전 8시에 숙소에서 출발했다. ... ...
2. 현재보다 10배 빠른 플라스마엔진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상태의 높은 온도로 달구려면 많은 양의 전기가 필요하다. 때문에 플라스마로켓에
작은
원자핵반응장치가 달려있고, 여기에서 발생한 전기를 이용해 안테나에서 강한 전파를 발사함으로써 플라스마 상태로 가열한다. 가둬둘 용기가 따로 없을 만큼 엄청나게 높은 온도의 플라스마는 플라스마로켓의 ... ...
화성에서 발견된 얼음 저수지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방대한 양의 얼음이 최근 NASA의 화성탐사선 오디세이에 의해 붉은 행성의 표면 아래에서 발견됐다. 표면에서 부터 30-60cm 아래에 묻혀 있는 ... 때를 말한다태양의 코로나 · 행성상성운(行星狀星雲) · 성간공간(星間空間)처럼 밀도가
작은
가스체에서는 이런 상태가 나타나지 않지만 밀도가 ... ...
3. 황금꽃으로 다시 피어나는 야생화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아니라 항암식물로도 알려진 바위솔 종류들과 고란초를 비롯한 각종 희귀 고사리류,
작은
날벌레들을 포식하는 우리나라 자생 벌레잡이식물인 끈끈이주걱 등의 조직배양법도 개발돼 대량 증식하는 길이 열렸다.야생화의 품종은 어떻게 개량하는 것일까. 우선 자연적으로 많지는 않지만 화훼식물로 ... ...
쇠라의 작품과 컬러 인쇄의 공통점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컬러 인쇄물이나 컴퓨터 모니터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색은 어떻게 구현된 것일까. 19세기 점묘법을 만들어낸 프랑스 화가, 쇠라로부터 그 답을 찾 ... 있다. 루뻬로 이를 확인할 수 있다.마찬가지로 컬러 텔레비전의 브라운관를 자세히 보면
작은
점들의 집합으로 이뤄져 있음을 알 수 있다 ... ...
협곡 사이로 흐르는 물리학 '래프팅'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변화가 심한가에 따라 사람이 느끼는 관성력이 커지고 그만큼 스릴을 느낀다. 예를 들어
작은
폭포를 만나는 경우 갑자기 바닥이 가라앉음으로 인해 배는 잠시 동안 자유낙하와 비슷한 포물선운동을 할 것이다. 이 동안 배의 가속도는 중력가속도와 같으므로 배에 탄 사람은 반대방향의 관성력을 ... ...
누워서 태양계 누비는 푸른 공 천왕성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골짜기, 도랑과 절벽 등 태양계의 딱딱한 천체에서 볼 수 있는 모든 모습이 이
작은
위성에 응축돼 있는 듯 했다. 과거 언젠가 부서졌다가 다시 뭉쳐진 것처럼 보이는 이런 모습은 천왕성에서 일어 났던 엄청난 사건의 단서일지도 모른다. 행성과 위성의 모습을 변화시킬만한 사건이란 인류가 1994년 ... ...
이동통신이 지배하는 정보의 우주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가속도 센서를 사용해 손동작을 포착하는 기기 등을 연구하고 있다.디스플레이의 경우엔
작은
패널로도 큰 시야각을 얻을 수 있는 HMD(Head Mount Display)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최근 일본의 미노루타사와 미국의 마이크로옵션사가 기존 안경 형태의 HMD를, 미국 워싱턴대에서는 눈의 망막에 직접 ... ...
기상천외한 곤충의 감각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약 105개에 불과하다. 인간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단순하다. 그러나 파리는 이
작은
뇌를 갖고도 지구에 잘 적응해 성공적으로 살아왔다. 파리와 인간의 뇌 신경세포는 구성물질, 전기적 특징, 그리고 정보를 만들고 전달하는 방식에 많은 공통점이 있다. 이런 구조적인 공통점 말고도 파리는 ... ...
이전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6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