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지구도"(으)로 총 7,186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月)이 숨을 쉬나…대기가 줄었다 늘었다 하네2015.12.20
-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달 대기관측선 ‘래디(LADEE)’. - NASA 제공 달에는 대기가 거의 없다. 과학자들은 중력이 약해 성간물질 입자가 유입되더라도 붙잡지 못하고, 달 표면에서 만들어지는 소량의 가스도 태양풍을 만나면 금세 날아가버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최근 이 생각에 수정을 가할만 한 ... ...
- 알록달록 목성 닮은 행성 속에 수증기가!2015.12.20
- 연구팀의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만든 '뜨거운 목성 형제들'의 상상도 - NASA, ESA, 데이비드 싱 영국 엑세스터대 교수 제공 빨주노초파남보, 무지갯빛 구슬을 연상케 하는 ‘목성의 친척 행성’ 10개가 관측됐다. 데이비드 싱 영국 엑세스터대 천체물리학 교수와 미국 항공우주국(NASA), 유럽우주기구 ... ...
- 별에서 깨어난 포스, 우주 가르는 광선검 나타났다2015.12.18
- 어린 별의 양극에서 강력한 에너지로 분출돼 나오는 빛의 모습이 스타워즈 다스몰의 광선검을 닮았다. - NASA, ESA 제공 영화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가 17일 국내에서 개봉했다. 그런데 스타워즈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광선검이 최근 우주망원경에 포착됐다. 데보라 패드겟 미국항공우주국(NASA) ...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성과는…‘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2015.12.18
- 2015년은 '크리스퍼의 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크리스퍼 기법을 적용한 연구 성과들이 쏟아져 나왔다. - 사이언스 제공 원하는 부위의 DNA를 정교하게 잘라내는 유전자 편집 기술인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가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의 혁신적인 기술(Breakthrough of ... ...
- 2015 크리스마스 럭키문, 8시 11분에 가장 둥글어요~동아사이언스 l2015.12.16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블러드문, 블루문, 슈퍼문, 김경문, 양상문…. 마지막에 좀 이상한 것이 섞이긴 했지만 올해는 유난히 달에 관한 이야기가 많았습니다. 동아사이언스에서도 여러 차례 재미있는 달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렸습니다. ☞ 아하! 추석 ‘블러드문’ 이렇게 뜨는구나~ ☞ 블루 ... ...
- 우리 가족은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5.12.14
- 지난 11월 21일, 이화여자대학교 종합과학관에서 2015년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이 열렸어요. 올 한 해의 탐사를 무사히 마친 160여 명의 탐사대원들이 수료증을 받기 위해 모였죠. 역대 최대 규모의 3기 지구사랑탐사대원들은 올해 어떤 활동을 해왔을까요? 수료식 현장을 생생하게 담아 소개합니다. ... ...
- 열혈 탐사 가족 ‘닥터구리’팀어린이과학동아 l2015.12.14
- 3기 지구사랑탐사대로 활동한 팀들 중에서 올 한 해 탐사 기록만 2000건을 넘긴 팀이 있어요. 바로 3년째 지구사랑탐사대로 멋지게 활동한 ‘닥터구리’ 팀이죠. 탐사를 위해 1년 내내 매일 저녁마다 논으로 숲으로 다닌 결과라고 해요. 어떻게 이렇게 가족 모두가 열혈 탐사대가 될 수 있었는지 그 비 ... ...
- ‘해리포터’ 소설과 영화 중, 당신의 선택은?2015.12.13
- 생각의힘 제공 ■ 영화는 우리를 어떻게 속이나 (제프리 잭스 作, 생각의힘 刊) 어렵고 딱딱한 뇌과학을 영화를 통해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는 책이 나왔다. 우리는 단순히 영화를 보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눈물을 흘리거나 몸을 움찔하고 때론 식은 땀을 흘린다. 우리 뇌가 영화 속 장면을 ... ...
- 무선전력전송 기술 어디까지 왔나2015.12.11
- 무선전력전송 기술의 최종 목표는 우주에서 발전시킨 대용량 태양광에너지를 수십km 떨어진 지구로 전송하는 것이다. 현재 미국과 일본이 한창 개발 중에 있다. -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공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처음 확인한 나라는 미국이다. 마린 솔랴치치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 ...
- 바닷물에서 민물 만들려면 ‘태양열’이 제격2015.12.08
- 지구상에 있는 물의 97%는 바닷물(해수)이다. 나머지 3%만이 염분이 없는 ‘담수’인데, 이중에서도 지표 위를 흐르는 물은 0.3%에 불과해 공업이나 농업 등에 쓸 물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해수를 담수로 만들기 위한 연구가 대표적이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기원)은 ‘태양열’을 ... ...
이전6116126136146156166176186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