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분"(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릎뒤 인체시계 센서 발견과학동아 l1998년 02호
- 센서가 무릎 뒤에 존재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15명을 대상으로 깜깜한 방에서 신체 각 부분에 빛을 비추고 체온과 멜라토닌의 분비량을 측정했다. 멜라토닌은 잠을 잘 때 뇌의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실험 결과 무릎 뒤에 빛을 비출 때 체온이 떨어지고 멜라토닌 분비가 증가하는 현상, ... ...
- 남자가 젖을 주지 못하는 이유과학동아 l1998년 02호
- 때문에 가급적이면 교미 후에 암컷의 곁을 떠나려고 한다.이러한 두가지 이유로해서 대부분의 수컷은 처자를 유기하고 다른 암컷에게 달려간다. 따라서 새끼를 보살피지 않는 수컷에게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유즙 분비 기능이 진화되었을 리 만무하다.암컷 혼자서 새끼를 돌보는 것이 당연시되는 ... ...
- 방귀, 소리에서 냄새까지과학동아 l1998년 02호
- 소리는 크게 나게 마련이다. 따라서 유난히 '밀어내는' 힘이 크거나 치질로 인해 통로가 부분적으로 막힌 사람의 경우 남보다 방귀 소리가 크게 날 것이다.흔히 방귀를 뀌는 횟수를 건강과 연관지어 다양하게 해석하곤 한다. 예를 들어 방귀를 뀌는 것은 소화가 잘됐다는 증거이기 때문에 건강한 ... ...
- 우주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과학동아 l1998년 02호
- 물질로부터 인력을 받는다. 따라서 돌멩이가 받는 인력을 따지려면 지구를 이루는 각 부분에 의한 인력을 모두 계산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지구를 이루는 모든 물질이 지구 중심에 모여 있다고 가정하고 계산한 결과와 마찬가지이다.이제 우주의 장래에 대해서 따져보기로 하자. 안드로메다은하는 ... ...
- 베르누이가 말한다.과학동아 l1998년 02호
- 뜨도록 만든 것일까.구부린 지붕이 편평한 지붕보다 더 위험한 것처럼 비행기 날개의 앞부분은 둥근 곡선이고 아래는 대체로 평면이므로 뜨는힘(이하 '양력')을 받도록 돼 있다. 비행기가 공중으로 떠오르려고 할 때, 날개는 전진하면서 공기를 밀어낸다. 날개의 위쪽이 둥글기 때문에 위쪽으로 ... ...
- 금 이야기과학동아 l1998년 02호
- 가지고 있다.우주왕복선의 추진 엔진과 동체의 연결 부분은 열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금이 들어간 합금으로 땜질을 함으로써 열을 반사하도록 한다.또 달탐험선인 아폴로의 표면은 얇은 금막을 입힘으로써 우주로부터 날아오는 방사선을 차폐한다. 이들 장치에 금을 사용하는 것은 열과 ... ...
- 기를 찍는 키를리안 사진기과학동아 l1998년 02호
- 한국정신과학연구소에서 휴대용 키를리안 사진기를 개발해 보급하고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키를리안 사진기는 암실에서만 사용가능했으나, 이것은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찍을 수 있는 장치다. 한국정신과학연구소는 현재 이를 보다 발전시켜 실시간 영상촬영기를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 ...
- 코뿔소가 변한 외뿔소 자리과학동아 l1998년 02호
- 별자리로 그려졌다. 외뿔소가 행성 먹으면 대홍수?중국과 우리나라에선 외뿔소의 머리부분의 세 별들을 사독성(四瀆星)으로, 목덜미 아래 지역에 해당하는 두 별을 관구성(關丘星)으로 불렀다.이곳은 황도에서 20°이상 아래이기 때문에 행성들이 들어오는 경우가 거의 없는데, 동양의 점성술에서는 ... ...
- 죽음, 그러나 영원한 삶과학동아 l1998년 02호
- 가진 유전자, 공룡이 가졌던 유전자, 그리고 그 밖의 생명체가 지녔던 유전자들이 한 부분으로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비록 생명체의 한 개체는 죽어가지만 그것은 결코 영원히 죽는 것이 아니다.동물과 식물, 그리고 우리 인간들은 개체의 죽음으로써 유전자를 남겨 영원히 ... ...
- 플라스틱의 변신과학동아 l1998년 02호
-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이다. 이것을 유기용매인 아세톤에 넣으면 닿은 부분부터 서서히 녹는다. 여기서 아세톤의 역할은 물질 자체를 녹이는 것이 아니라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결합을 끊어주는 것이다. 따라서 폴리스티렌은 아세톤과 반응하면 형태가 무너지면서 내부의 공기가 ... ...
이전6126136146156166176186196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