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뛰어난 ‘사시’ 사냥꾼과학동아 l2010년 06호
- 혀가 있다. 끝부분이 끈끈한 덕에 한 번 닿은 먹이는 놓치지 않는다. 자기 몸길이보다 3배 이상 늘어나는 이 혀는 목 안의 설골(혀뿌리에 붙은 뼈)과 탄력 있는 주변 근육의 힘으로 순식간에 튀어나온다. 우스꽝스런 방법으로 먹이를 잡는 ‘사시’ 카멜레온은 가까이에서 들여다보면 연한 연두색부터 ... ...
-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민군 합조단 측은 “북한 어뢰에는 일반 폭약보다 강력한 폭약이 쓰여 실제론 200~300kg 이상의 폭발력을 지녔을 가능성이 높다”며 “폭약에 알루미늄을 섞으면 폭발력이 더 커진다”고 설명했다.민군 합조단은 수중폭발의 원인을 북한이 1980년대 개발한 ‘CHT-02D’어뢰라고 지목했다. 과학수사에서는 ... ...
- PARTⅠ 수학을 알아야 축구를 잘 한다 : 축구는 수학이다수학동아 l2010년 06호
- 상대 선수의 습관을 미리 파악했기 때문에 슛을 막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이제 축구는 더 이상 열심히 뛰기만 하면 되는 ‘근성’의 스포츠가 아니다. 상대방과 우리의 전력을 수치로 만들어 평균을 내고 통계로 보기 좋게 정리한 분석 결과를 놓고 맞춤 전술을 짜는 ‘수학’의 스포츠다.수학 교사 ... ...
- 사건파일 2 도둑의 발자국수학동아 l2010년 06호
- 자라다가 20세까지 1년에 767kg씩 몸무게가 늘 정도로 빠르게 자란다. 22세 무렵이면 더 이상 자라지 않는다.도둑의 움직임 추적하기 발자국에는 도둑의 움직임이 그대로 남아 있어. 발자국을 연구해서 공룡의 움직임을 파악하려는 학자들도 있지. 앞서 발자국의 크기만으로 공룡의 크기를 정확하게는 ... ...
- 수를 말하는 기수와 서수수학동아 l2010년 06호
- 표현한다. 예를 들어 3분의 1을 영어로 말하면 one third, 3분의 2는 two thirds다. 분자가 2 이상일 때는 분모에 s를 붙여 복수 형태로 말한다.이번 호에서 공부한 내용은 특히 해외여행을 할 때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수와 서수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잘 익혀 두었다가 외국에 나갈 때 ... ...
- 플랫랜드 이야기수학동아 l2010년 06호
- 많을수록 신분이 높은 사람입니다. 이 플랫랜드에 사는 정사각형 주인공은 어느 날부터 이상한 일을 겪습니다. 그 결과 새로운 차원의 세상에 눈을 뜨게 되는데요….작품 소개에드윈 애보트(1838~1926)가 쓴 ‘플랫랜드 이야기’는 모든 것이 납작한 2차원 세계에 대한 소설입니다. 애보트는 2차원 ... ...
- 7차 방정식의 해법, 140년 만에 풀렸다.수학동아 l2010년 06호
- 예측하기 위한 방정식입니다. 이 방정식은 정확한 해법은 없었지만 한 세기 동안 이상기체의 움직임을 모형화하는 데 널리 사용됐습니다.연구팀을 이끈 필립 그레스만 교수는 “이론적으로 방정식의 해가 존재한다고 알고 있었지만 자그만 실수로 실패를 거듭했다”며 “자연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 ... ...
- 나에게 유리한 수시 전형을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06호
- 가중 평균등급이 각각 3.0등급 이내, 또는 수학·과학 관련 전문교과의 이수단위의 합이 15 이상이어야 한다. 서류 평가 60%와 논술 시험 40%로 선발한다. 수시 2차 입학사정관 전형(수능 후)에서는 진리·자유전형 500명, 사회기여자전형 30명, 연세한마음전형 100명, 사회적배려대상자전형 50명을 선발한다. ... ...
- 아찔아찔, 거울 나라 탈출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모든 관문을 통과할 수 있을까?첫 번째 관문 ▶▶▶ 일그러진 괴물의 진실!으아아악~! 이상하게 일그러진 괴물 때문에 꺄아악~, 나는 비명을 질렀단다.허걱! 그런데 섭섭박사님은 여유롭게 노래나 부르고 있지 뭐야?“소녀는 비명을 지르고 말았어요~♩ 나도 비명을 지르고 말았어요~♪ 우리 모두 ... ...
- 한국 과학에 ‘일러스트 르네상스’ 올까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의대 해부학교실 정민석 교수는 학생들에게 해부학을 쉽고 재미있게 가르치기 위해 10년 이상 만화로 인체를 그렸다. 처음 찾아가는 장소의 위치를 파악할 때 복잡한 지도보다 약도를 봐야 머릿속에 쏙 들어오는 것처럼 그는 해부학을 전혀 모르는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선이나 원, 삼각형 ... ...
이전6136146156166176186196206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