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원형과 모습이 다를 수 있으며, 반드시 똑같은 행동을 하지도 않는다고 밝혔다.
지난
1월 21일, 미 인도주의사회 소속 과학자인 웨인 파셀은 2001년 12월 텍사스주 A&M대에서 탄생시킨 복제고양이 ‘시시’(cc)가 원형인 ‘레인보’(rainbow)와 겉모양뿐 아니라 성격면에서 판이하게 다르다고 말했다 ... ...
인간 생명을 구하는 억대 인형 더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사용했다. 군사적인 목적으로 더미가 자동차에 적용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말부터다.
지난
50여년 동안 더미는 자동차 충돌시험에 대부분 사용된 것이 사실이다.그러나 앞으로는 우주에서 활약하는 프레디처럼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전문화된 더미가 등장한 전망된다. 더미 역시 인간이 ... ...
1 달 탄생 유력한 시나리오 대충돌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상호작용으로 달 궤도의 기울기가 커진다는 점을 보여주었다.처음 제기된 이래 25년이나
지난
지금까지 달 기원을 설명하는 선두주자로 남아있는 대충돌설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 현재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많은 사실이 가능한 것으로 드러났다. 물론 앞으로 컴퓨터의 능력이 향상되면 달 ... ...
③ 홀로그램 동영상으로 영화 감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지난
해 개봉해 인기를 끌었던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는 주인공 톰 크루즈가 가족과 찍은 동영상을 일반적인 디스플레이가 아닌 공중에 홀로그램을 펼쳐놓고 3D 입체영상을 만들어 회상하는 장면이 나온다. 여기서 3D 입체영상은 물리적인 실체는 아니지만 말과 행동,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따르면, 반도체칩의 집적도가 12-18개월마다 두배로 늘어난다고 한다. 그렇다면 과연
지난
40년 간 반도체가 착실하게 따라온‘무어의 법칙’이 계속 적용될까.하지만 깎아내기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 현실적으로 35nm 이하로는 발전하기 어렵다. 반도체 소자의 크기가 20-30nm 정도가 되면 양자현상이 ... ...
미 FDA 유전자치료 전면 중단 선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지난
1월 15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유전자치료를 받던 환자가 백혈병에 걸리는 사건이 발생했다며 미국에서 진행중인 27건의 유전자치료를 전면 중단시켰다고 발표했다. 유전자치료 중 백혈병이 발생하기는 2002년 9월에 이어 이번이 두번째다. 당시에는 3건의 유전자치료가 중단됐지만, 이번처럼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24인치급의 TFT-LCD가 생산되고 있고, TV용으로 30-40인치급도 생산되고 있다. TFT-LCD의 크기는
지난
20년 동안 계속 커져 현재 40인치급에서 PDP와 경쟁할 수 있는 단계에 와 있다.또한 TFT-LCD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됐던 좁은 시야각 문제가 연구 개발로 차츰 해결되면서 생산에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 ...
병주고 약주는 두 얼굴의 초콜릿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킨 교수 연구팀은 초콜릿이 심장병과 동맥경화 등의 성인병 예방에 좋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
2000년 발표했다. 킨 교수에 따르면 초콜릿의 성분 중 하나인 플라비노이드는 혈액 응고를 지연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고, 따라서 심장마비나 심장발작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심장마비나 심장발작은 ... ...
이라크전에 등장 예고된 전자기파 펄스 무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손목에서 나오는 거미줄은 아니지만 거미줄을 발사하는 ‘거미총’이 이미 개발됐다.
지난
2002년 월드컵에서 일본 경찰이 유럽의 훌리건 난동에 대처하기 위해 ‘거미총’ 무기를 개발·시험했다. 몸집이 큰 외국인 훌리건을 직접적으로 다치지 않게 하면서 제압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경찰이 ... ...
국내 연구팀 단백질 구조예측대회서 아시아 최고 성적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CASP는 처음 20여개 연구팀으로 출발해 올해는 출전팀이 2백20여개로 늘어났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제4회 대회에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윤창노 교수팀이 처음으로 참여했고, 이번에는 윤 교수팀과 고등과학원의 이주영 교수팀이 출전했다.이 교수팀이 CASP에서 높은 성과를 거둔데는 그가 미 코넬대 ... ...
이전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