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신감이 공부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좋다. 포스텍과 카이스트는 청소년 대상 캠프를 운영한다. 경쟁률이 높지만 신청해보자.
큰
상을 타지 못하거나 탈락하더라도 참가하는 것만으로도 의의가 있다. 자기소개서를 쓸 때 관심 있는 분야를 공부하기 위해 이런 시도를 했다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 이런 것은 대입 때 살을 붙여 쓰면 ... ...
세상이 깜짝! 별별 동물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신사예요! 황제전갈2006년 가나에서 발견된 이 전갈은 약 20㎝ 길이로, 세계에서 가장
큰
전갈이에요. 하지만 커다란 몸집에 어울리지 않게 작은 흰개미와 애벌레를 먹으며 살고, 독은 사람에게 해가 되지 않는답니다. 오히려 독성분은 심장병 치료용 약으로 연구 중이지요. 또한 자외선을 쪼이면 볼 수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그러고 보니 요새 몸도 시름시름 아프고, 악몽도 자주 꾸는 것 같아. 설마 정말
큰
병에 걸린 건가…? 아무래도 의사를 만나 봐야겠어!바다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20~30%를 흡수한다. 유엔환경계획은 탄소가 지금과 같이 배출된다면 2018년까지 북극해의 10%가 부식성 있는 산성바다로, 2050년에는 50%로 ... ...
로마 콜로세움엔 왜 아치문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건축양식과는 다른 양식으로 거대한 콜로세움과 같은 건축물을 지었다. 콜로세움처럼
큰
건물을 지을 수 있는 비밀은 어디에 있는 걸까?비밀은 바로 아치에 숨어 있다. 아치의 원리는 간단하다. 쐐기 모양의 홍예석을 반원 모양으로 쌓으면 돌들이 서로 밀어내 아치 위쪽의 무게가 아치를 거쳐 ... ...
"퍼즐 효과, 그 진실을 파헤쳤어요!"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수업에 참여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평소 스도쿠와 노노그램과 같은 퍼즐을 즐겨 기사에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실제로 매일매일 퍼즐을 풀면 창의력이 높아진다는 사실에 신기해했죠. 하지만 워크시트에소개된 랭퍼드 퍼즐의 수학적 원리가 초등학교 학생들이 이해하기에는 어려워 애를 먹었습니다.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완벽히 이해하지 못해 궁극적인 이론이 무엇이 될지는 모른다. 하지만 위와 같은 아주
큰
에너지 영역을 제외하면 상대성이론은 우리가 느끼는 영역을 포함한 대부분의 에너지 영역에서 성립하는 유효한 이론으로 남을 것이다.[남극의 ‘아이스큐브’실험장의 모습. 우주에서 날아오는 고에너지 ... ...
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시상식에서 “이제는 신발 악취를 없애는 고추냉이 스프레이를 만들 차례”라고 밝혀
큰
웃음을 주었다.“난 너의 하품에 공감해” 하품이 전염되는 이유를 실험으로 밝혀낸 이색적인 연구도 이그노벨상을 받았다(생리학부문). 영국 링컨대 생명과학부 애너 윌킨슨 박사팀은 하품이 전염되는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토카와는 우주의 바람(태양풍)과 함께 사라지는 것이다.현재 태양계 탐사의 가장
큰
화두는 ‘물’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어떤 우주물질 채집 탐사에서도 물이 포함된 광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물이 포함된 광물의 존재는 태양계의 핵심 의문 사항 중 하나인 지구에 있는 물의 기원을 이해하는 데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결과가 의학 치료에 활용되길 바라고 있다. 특히 그의 관심사인 신경 손상 환자의 치료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970년대에 처음 연구를 시작한 것도 고통과 재활에 대한 연구였다.코미사룩 교수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 1951년 윌더 펜필드 캐나다 맥길대 신경외과 교수가 ... ...
고향 못 떠나면 기후변화에 당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나왔다. 지금처럼 기후변화가 빠르게 나타날 경우 이동이 비교적 자유로운 조류는
큰
영향이 없지만, 이동 능력에 한계가 있는 양서류는 멸종할 수도 있다. 이 결과는 덴마크 오르후스대와 영국 케임브리지대를 중심으로 한 공동연구팀이 양서류와 조류, 포유류의 서식지를 지역별 기온변화 속도와 ... ...
이전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