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의술
메디컬
메디칼
medical
뉴스
"
의학
"(으)로 총 6,485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코만 있으면 사망 시각 추적 ‘OK’
과학동아
l
2014.07.01
동아일보DB 제공 범죄 수사물을 보면 사망자의 사후경과시간 즉 사망 시각을 밝히는 것이 사건 해결에 중요한 단서로 다뤄진다. 사건이 ... 사망 시각을 추정하는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라며 “이를 토대로 전자 코를 개발한다면 법
의학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우리 아이 의사의 꿈, 현장에서 키워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4.06.30
메디컬 드라마’라는 주제로 7월 19일(토) 오후 2시부터 진행된다. 김상태 서울대학교병원
의학
역사문화원 교수가 연사로 나서며, 지난 100년간의 의료현장사진을 감상하고 의료활동와 의미와 의사로서 가져야할 마음가짐에 대해 되짚어 보는 시간으로 꾸며질 예정이다. 메디컬 현장 탐방 ... ...
암 유전자 없이 iPS세포 제조 성공
과학동아
l
2014.06.24
있다. -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제공 야마나카 신야 교수가 개발하고 2012년 노벨 생리
의학
상을 수상한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가 치료분야에서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넘어야 할 몇 가지 장벽이 있다. 그 중 하나가 iPS세포를 만들 때 필요한 외부 유전자다. 특히 세포를 iPS세포로 ... ...
셜록이 담배를 끊지 못하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4.06.17
2개 이상 사용했을 때 금연 성공률이 45% 이상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미국 정신
의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실험을 위해 우선 하루에 담배를 10개비 이상 피우는 ‘골초’이면서 금연을 희망하는 실험 참가자 349명을 모았다. 실험 참가자들에게는 ... ...
남미 국가들이 축구처럼 과학도 잘 하려면
과학동아
l
2014.06.15
가지고 오기도 한다. 블랑팽 박사와 푸시 박사는 논문에서 “상피줄기세포 연구는 재생
의학
분야와 암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 ...
노벨상 받은 ‘iPS세포’, 암 일으킬 지도
과학동아
l
2014.06.11
불린다. 이 현상을 처음 발견한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 교수는 2012년 노벨 생리
의학
상을 받았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처음 삽입한 외부유전자가 이후에도 그대로 남아있다는 점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해 왔다. 도정태 건국대 동물생명공학과 교수팀은 기존 방법으로 만든 ... ...
“등산 잘 하는 사람의 유전자는 태어날 때부터 다릅니다”
과학동아
l
2014.06.04
중인 지식강연시리즈의 강연자로 한국을 찾은 휴 몽고메리 영국 런던대(UCL) 집중치료
의학
과 교수를 2일 서울 종각에 위치한 마이크로임팩트스퀘어에서 만났다. 몽고메리 교수는 지구력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존재를 1998년 학술지 ‘네이처’를 통해 처음 밝혀낸 세계적 석학이다. “안지오텐신 ... ...
김희애의 ‘특급 피부’ 갖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4.06.04
최근 탤런트 김희애의 피부가 화제를 모았다. 최근 종영한 드라마 ‘밀회’에서 상대역인 유아인보다 무려 19살이나 많지만 유아인의 피부와 비교해도 ... 측정하는 분자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연구결과는 ‘분자
의학
경향’ 5월 28일자에 실렸다. ... ...
독사에 물려도, 당황하지 않고, 이 약물 뿌리면 끝
과학동아
l
2014.06.04
새뮤얼 교수팀과 공동으로 코에 뿌리는 형태의 뱀독 해독제의 효과를 확인했다고 ‘열대
의학
저널’ 5월호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생쥐에게 인디안 코브라의 독을 치사량만큼 주사한 뒤 10분 뒤 특정 해독제를 코에 뿌려주자 독성이 감소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해독제는 화학적으로 합성한 ... ...
날조 의혹 STAP 세포 논문, 결국 철회하기로
과학동아
l
2014.06.03
세포의 제조 과정이 담겨 있어 STAP 세포의 존재 여부와도 관련이 있다. 한동욱 건국대
의학
전문대학원 교수는 “STAP 세포는 세계 어느 팀에서도 재현했다는 보고가 없는 만큼 제작 방법을 소개한 첫 번째 논문도 철회돼야 할 것”이라 말했다. 이화학연구소 관계자는 “첫 번째 논문 역시 ... ...
이전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