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7,647건 검색되었습니다.
(2)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 표준우주모델 시나리오의 기틀 마련
과학동아
l
199309
이와 마찬가지로 어느 방향으로나 동일하게 우주가 팽창하게 되는 것이다. 최근에 은하
사이
의 거리보다 훨씬 더 큰 규모에서 본다면 프리드만이 가정한 균질함이 놀라우리만큼 정확하다는 것올 알게 되었다.□ 로버트슨-워커의 우주1935년에 미국의 로버트슨(H. Robertson)과 영국의 워커(A. Walker)는 ... ...
우리별 2호
과학동아
l
199309
개발 및 제작된 것으로 우리별 1호의 우주 입자 검출기가 약 8MeV에서 8백MeV
사이
의 고에너지 입자(주로 양성자)를 측정하는 것인 반면, 저에너지 전자 검출기는 6keV 이하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전자들을 검출한다.본 실험장치의 개발은 기술적인 측면으로 고진공 하에서 작동하는 초소형의 고전압 ... ...
세계 최초로 '전자의 액체론적 파동성격' 주장한 새개념 초전도 이론
과학동아
l
199309
매처럼 숲에서 높게 멀리 떨어져야 하고 작은 새처럼 숲속을 집삼아 자유롭게 나무
사이
를 파고드는 양면성을 지녀야 한다. 따라서 물리 화학 금속 전자재료 화공 대표적 여섯 분야의 연구진을 이끌어나갈 이론 및 실험 양쪽에 다 능통한 인재가 어서 바삐 길러져야 하겠다.이상의 4가지 장벽을 ... ...
혼돈이론 응용 전자공학의 새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199309
가전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혼론이론을 전자공학에 응용하려는 연구도 일본 과학자들
사이
에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규슈공대의 야마카와 교수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간단한 혼돈칩을 개발해 이 칩을 사용한 응용시스템을 발표했다 이 칩에는 10여개의 차등증폭회로를 사용한 비선형회로와 ... ...
잠과 건강, 신비의 관계 벗겨진다
과학동아
l
199309
1백20분
사이
에 반복운동을 하는 박테리아로 가득차게 되는데 이는 뇌의 수면 단계
사이
의 시간과 정확히 일치한다.이것은 우연의 일치일 수도 있다. 그러나 또한 수면인자가 뇌에 동시적인 파동을 통해 도달할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 즉 REM 수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뇌가 필요하지만 "우리가 ... ...
임산부와 태아
사이
도 보이지 않는 다툼 있다
과학동아
l
199309
절반은 아버지의 유전인자를 가진 엄마뱃속 아기는 자신만의 진화적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 임신은 '진화를 향한 투쟁'으로 파악되기도 한다.아이를 갖는 일은 결코 간단하지가 않다. 임산부에게는 고혈압 매스꺼움 당뇨와 유사한 증세 등 부수 현상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지난 2년간, 하버드 ... ...
해안선의 형태가 해일에 큰 영향
과학동아
l
199309
일어나진 않았다.이미 이곳에서는 지난 1940년과 1983년 북미 대륙과 유라시아 지각판
사이
의 구조지질학적 경계가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이동해 섬의 한쪽에 단층을 따라 지진이 일어난 일이 있었다. 지진학자들은 오쿠지리섬에서 가장 가까운 단층의 한부분은 절대 분출하지 않을 '비어 있는 지점 ... ...
물리- 전하량은 항상 보존된다
과학동아
l
199309
축전기의 판이 넓어진 것과 같아서 용량은 그만큼 커지지만, 직렬로 연결하면 판
사이
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과 같아서 용량은 적어진다. 전하는 소비되는가?전하란 돌아다니면서 선풍기도 돌리고 전구에 불을 켜기도 하며 텔레비젼을 작동시키는 등 모든 전기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것을 ... ...
인공생명 탄생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309
생명체를 구성하는 요소의 행동을 이해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구성요소
사이
의 상호작용이 본질적으로 비선형(非線型)이기 때문에 선형계에서처럼 구성요소의 행동을 개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선형계는 전체의 행동이 구성요소의 행동의 총계와 일치하기 때문에 ... ...
백령도의 조류와 식물
과학동아
l
199309
판명됐는데, 암놈 어미가 새끼 3마리를 거느리고 물고기를 잡고 있었다.백로 2마리가
사이
좋게 날아가고 이따금씩 칼새와 갈매기들이 나타나는 것 외에는 더 이상 지켜볼 새가 없어 철수했다. 그때 한쪽 능선에서 식물채집을 하고 있던 박재홍교수팀이 열심히 한 식물을 채취하고 있었다. 잔대의 ... ...
이전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