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191건 검색되었습니다.
왜군 벌벌 떨게 한 조선의 시한폭탄 비격진천뢰 고창서 무더기 출토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만들었을 것으로 분석됐다. 포 거치대로 추정되는 기둥구멍 2개도 포대 남쪽에서
발견
됐다.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은 1417년(태종 17년) 왜구의 침입을 방어할 목적으로 건설됐고 이후 행정과 군사의 요충지 역할을 담당했다. 조선시대 읍성 가운데 건립 연대가 정확하게 알려진 보기 드문 ... ...
마약중독치료제 및 항암제 후보물질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동일성분의 물질을 새롭게 합성하는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현재 자연계에서
발견
되는 많은 카타란틴 계열 천연물은 의학적, 산업적 효과를 확인하려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 항암제로 쓰이고 있는 ‘빈블라스틴’도 이같은 기법으로 개발된 것이다. 천연물을 그대로 흉내내 ... ...
적외선 우주망원경으로 새로운 별 생성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기존에 알려진 전리수소 영역의 목록보다 약 1.5배 정도 많은 전리수소 영역 60여 개를
발견
했다. 천문연은 향후 연구대상을 전체 은하면으로 확장해 은하 내 별 생성과 진화 과정을 연구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10월 5일 국제 학술지인 ‘천체물리학 저널 증보’에 게재됐다. ... ...
면역세포 제기능 못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염증성 도움 T세포가 될 때 전사조절 인자인 Id2 단백질의 발현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Id2 단백질이 조절 T세포의 분화와 발달, 기능을 관장하는 전사인자인 ‘Foxp3’의 발현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발성 경화증을 앓는 동물의 조절 T세포에서 Id2 단백질을 과발현 시킨 결과, 증상이 ... ...
[11년만 과기장관회의] 치매 발병 5년 늦추고, 환자증가 속도 절반으로 낮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고서곤 과기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치매는 조기
발견
이 중요하기 때문에 다양한 발병원부터 찾고 치료제 개발까지 차례로 추진할 것"이라며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치매치료제 개발분야에서 기술력을 확보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 ...
[지구사랑탐사대] 우리 민물고기의 터전, 하천
2018.11.14
외래종 탐사에 나섰어요. 하천으로 뛰어든 지 채 10분도 지나지 않아 한 대원이 구피를
발견
하고, 이어 수십 마리의 구피를 잡았어요. 탐사를 이끈 성무성 연구원은 김수환 박사님을 대신해 이곳에 구피가 살게 된 이유에 대해 설명했지요. “현재 죽당천의 온도는 31℃도예요. 가을철에도 이렇게 ... ...
기후변화가 남성 불임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영향을 받은 곤충의 자손이 가진 정자가 세대를 거칠수록 점점 더 크게 손상되는 것을
발견
해 13일(현지 시간)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곡물 가루에 많은 해충으로 연중 모든 생육단계를 확인할 수 있는 곤충으로 딱정벌레목의 거짓쌀도둑거저리 (Tribolium castaneum)을 실험 ... ...
'누리호' 엔진 검증용 시험발사체 28일 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8일 앞둔 지난달 17일 시스템 점검 과정에서 추진제 가압계통의 압력이 떨어지는 현상을
발견
해 발사 일정을 연기했다. 추진제 가압계통은 로켓 연료(케로신)와 산화제(액체산소)를 탱크에서 엔진으로 넣어주는 가압장치다. 극저온 환경에서 부품의 연결 부위에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조사를 해봤고 한 사이트에서 모든 궁금증을 한 번에 해결해주는 ‘환상적인’ 그래프를
발견
했다. 이를 소개하기 전에 인간 눈의 해상도에 대해 잠깐 살펴보자. 먼저 거리로 계산하는 필자의 추론은 맞았다. 우리 눈의 해상도는 눈이 두 점을 구분할 수 있는 경계의 각도로 결정된다. 이 각도가 ... ...
'오무아무아’에 대한 하버드대 과학자들의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외계 성간 물체로 판명됐다. 인간이 먼우주에서 날아와 태양계를 지나친 성간 물체를
발견
한 것은 처음이다. 그리고 먼 곳에서 온 전달자라는 하와이 원주민의 용어인 ‘오무아무아(Oumuamua 1I/2017 U1)’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하지만 누구도 오무아무아의 정체가 무엇인지, 어디에서 왔는지 답을 ... ...
이전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