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뉴스
"
연구소
"(으)로 총 9,718건 검색되었습니다.
[2019 ICAN] 장소는 기억의 거점, 길을 기억하는 세포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어디에 있는 걸까. 정통 신경과학자인 서배스천 로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
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뇌 속 기억 저장 중추인 해마에 해당 길의 장소 기억 세포가 있다”고 말한다. 그가 쥐를 대상으로 고안한 독특한 트레드밀(러닝머신 형태의 실험도구)을 이용해 직접 관측한 결과다. ... ...
[2019 ICAN]“공학과 과학이 만날 공간,젊은 학자의 아이디어가 뇌공학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강력한 학제간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에서는 KIST 뇌과학
연구소
가 뇌과학자와 생명과학자, 공학자가 한 데 있는 독특한 기관이라 인상적이었다”며 “하나의 공간이나 기관에서 뇌 학자와 공학자가 협업하는 것은 뇌공학을 발전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밝혀질 수 있을까
2019.05.21
더 심오한 발견을 해내길 바란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
연구소
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7권),《생명과학의 기원을 ... ...
[2019 ICAN]“지금은 기술이 뇌 연구의 과학적 발전 이끄는 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뇌 신호 측정 분야에서 세계적인 신진학자로 평가받는 이진형 미국 스탠퍼드대 신경과학
연구소
교수는 20일 "그간 오랫동안 느리지만 착실하게 쌓여온 뇌 연구 성과 덕분에 드디어 성과가 폭발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환경에 이르렀다"며 "뇌 공학 연구의 성과가 급격히 폭발하는 '터닝포인트'에 ... ...
공포치료·시공간 정보처리 과정 밝힌 신경공학, 뇌 연구 혁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기술은 현재 전세계 뇌과학자가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바스천 로열 KIST 뇌과학
연구소
신경커넥토믹스연구단 책임연구원 신 단장 연구진은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정재승 교수와 빛을 이용해 공포 반응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쥐 실험으로 확인했다고 지난 2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 ...
NASA 관계자 "2033년 美 화성 유인탐사 계획 실현가능성 떨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내딛는 것은 확률이 낮다는 전망이다. 로버트 하워드 NASA 존슨우주센터 미래우주주거
연구소
장은 과학매체 피즈오아르지(Phys.org)와의 인터뷰에서 화성 유인 탐사와 관련된 정치적 움직임을 지적했다. 하워드 소장은 “예산과 정치적인 의지만 있다면 기술적 혹은 과학적인 문제들은 화성 ... ...
NYT "헬륨 부족 사태 현실화. 풍선 탓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19.05.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역시 시급한 문제는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 핵융합
연구소
한 관계자는 “초전도 자석을 유지하기 위한 액체 헬륨은 한번 쓴 뒤 순환시켜 재활용하는 방식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당장 큰 문제는 없다”면서도 “전량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수급 상황을 면밀히 보고 ... ...
방사선 치료 뒤 조직 변화, MRI 응용해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8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원자력의학원은 박지애 방사선의학
연구소
선임연구원(사진)과 김형중 경희대 교수팀이 자기공명영상(MRI)를 이용해 방사선 치료 전후 조직의 변화를 정확히 영상화하는 데 성고했다고 17일 밝혔다. MRI는 방사선 치료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널리 ... ...
[주말 고고학 산책]유물 나이를 알아내기
2019.05.18
사리함 표면에 적힌 한자를 해석해 왕흥사가 지어진 연도를 알게 됐다. 국립부여문화재
연구소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처럼 모든 유물에 만들어진 연대가 적혀있다면 좋겠지만, 이런 행운은 아주 드뭅니다. 보통 고고학자들은 여러 방법을 써서 유물의 연대를 알아냅니다. 예를 들어 고고학자들은 ... ...
먹이 못 먹은 펭귄 똥에서 생존의 비결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음식물 잔해가 거의 없다. 단식 중 똥이 녹색인 것은 담즙 때문이다. 사진제공 극지
연구소
이 선임연구원은 “기후변화로 극지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남극 생물의 생존전략을 밝히고 기후변화가 남극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이전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