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194건 검색되었습니다.
[DBR 경영어록]“모방하고 싶어하는 제품을 만들어라”
동아일보
l
2013.04.25
겪을 수밖에 없다. 그 대신 새로운 것을 처음 만들어내는 사람은 스스로 진화하고 있는
존재
다. 경쟁자의 추격은 오히려 새로운 세계로 이끌어주는 견인차다. 발명가의 재능을 가졌다면 뒤를 돌아보지 말고 자신의 미래만 바라보며 경쟁하면 된다. 이럴 때 또 다른 발명품이 나오는 것은 아닐까. ... ...
완벽하지 못한 과학의 불편한 초상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대한 도전이다. 숨기려는 자에게서 완벽한 증거를 찾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과정으로
존재
가치를 인정받는다. 이런 생각을 공유하며 과학수사의 독립성을 지켜준다면 ‘한국의 CSI’가 꾸준히 발전할 것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는 ‘한국의 과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과학을 이리저리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광자) 에너지를 흡수한 전자가 깔때기를 이루고 있 는 엽록소에 동시에 공간적으로 퍼져
존재
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다음 반응으로 넘어가는 입구에 순식간에 도달할 수 있다는 말이다. 즉 콩이 깔때기 내벽에 통통 튀어 가운데 구멍으로 빠지는 게 아니라 호수에 돌을 던지면 물결이 사방으로 ... ...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박사의 반응처럼. “우리는 우주의 실체에 대해서는 많은 아이디어가 있지만, 우주가 왜
존재
하느냐에 대해서는 아무 생각이 없다. 이게 더 재미있지 않냐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2010년 결과처럼 ‘현생인류 게놈에 네안데르탈인 게놈이 2.5% 들어있다’는 식으로
존재
할 수 있지만 미토콘드리아 게놈은 ‘모 아니면 도’일 것이라는 것. 지금까지 알려진 미토콘드리아 게놈 데이터는 모두 현생인류의 계보에 속하지만(사람들의 미토콘드리아 게놈 변이를 비교해 현생인류의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지방산의 항염증 효과는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대식세포나 성숙한 지방세포 표면에
존재
하는 GRP120이라는 수용체에 달라붙어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경로를 활성화하기 때문이라는 것. 또 인슐린 민감성도 올라가 당뇨병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과학저널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3월 5일자 ... ...
엄마도 모르는 모유의 진실, 알고보니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2000년대 초중반 행해진 연구에 따르면 보통 모유에는 모유올리고당이 100여 가지나
존재
하는데 유익균의 대명사인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um infantis)가 모유올리고당을 잘 먹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비피도박테리아는 설사를 일으키는 유해균이 장에 자리잡지 못하게 하는 ‘아군’이다.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동물이냐? 식물이냐?” 하는 구분이었다. 17세기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미생물의
존재
가 밝혀졌지만 사람들은 ‘동물이 아닌 건 다 식물’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1866년 독일의 저명한 생물학자 에른스트 헤켈은 단세포 생물을 식물에 분류하는 건 무리라고 보고 이들을 원생생물로 따로 분류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덧붙여져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놀랍게도 동일한 구조의 갓이 진핵생물의 전령RNA에도
존재
했다. 갓은 전령RNA의 말단을 가수분해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리보솜에서 eIF-4E라는 개시인자가 달라붙어 번역을 촉진하는 역할도 한다는 사실이 뒤에 밝혀졌다. 샛킨은 갓과 관련된 연구를 계속했는데 그의 ... ...
우주 나이 논란 ‘허블 전쟁’의 주인공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겁니다. 이를 통해 암흑에너지, 암흑물질, 그리고 뉴트리노 같은 입자가 우주에 얼마나
존재
하는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프리드먼 대장은 카네기천문대가 한국천문연구원을 비롯한 여러 기관과 함께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거대마젤란망원경(GMT)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 ...
이전
615
616
617
618
619
6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