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결과"(으)로 총 7,205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개인의 노력을 탓하는 이유2018.04.28
-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스스로를 돌보는 게 서툰 ... ...
- 논문으로 살펴본 북한 과학의 현재 과학동아 l2018.04.27
- SCI)급 학술지에 등재된 북한 과학자들의 논문을 분석했다. SCI 등재는 연구결과의 학술적 의미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는 의미다. 과학동아 5월호에는 논문으로 북한 과학의 현재를 살펴본 내용이 실렸다 - 사진 GIB 제공 ■ SCI급 논문 11년 간 북한은 260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저자는 총 1344명이다. ... ...
- ‘백두산 과학기지’에서 분화 모니터링 한다 과학동아 l2018.04.27
- 북한을 포함한 국제공동연구진은 2016년 백두산 마그마방의 존재를 최초로 규명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사진은 당시 촬영한 백두산의 모습. - Science Advances 제공 지금으로부터 약 1000년 전인 946년, 백두산이 분화했다. 화산폭발지수 7(화산 분출물의 양을 ... ...
- 우리가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인 이유, 뇌 구조!동아사이언스 l2018.04.26
- 교수는 네안데르탈인이 호모 사피엔스와의 ‘문화’ 경쟁해서 패배해 사라졌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여기서 ‘문화’란 소통 능력, 사냥 기술, 환경에 대한 적응력 등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호모 사피엔스의 사회적 유대감과 소통 능력이 큰 역할을 했을 ... ...
- 기술력 최고인 남한, 광물자원 풍부한 북한과학동아 l2018.04.26
- 급 논문은 대부분 중국과의 공동연구결과로, 북한의 독자적인 연구결과는 거의 없다. 고 단장은 “북한에서 발간하는 정기간행물이나 단행본을 분석해보면, 분야별 북한의 기술 수준은 다소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며 “가장 큰 문제는 열악한 인프라와 관련 기술 부족”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 ...
- 미리보는 남북공동회담, 판문점 24시 타임라인동아사이언스 l2018.04.26
- 종료된 후 두 정상은 별도의 오찬과 휴식시간을 갖는다. 양측은 오전 정상회담 결과를 정리하고 오후 전략을 수립하는데 시간을 활용할 전망이다. 북측은 오찬 시간에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측에서 오찬을 한 후 오후에 다시 돌아온다. 남북 정상은 이후 평화와 번영을 기원하는 소나무를 함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2018.04.24
- 하면 마음이 차분해지는 건 호흡을 가다듬어 전뵈트징어복합체의 특정 뉴런이 잠잠해진 결과일지도 모른다. 연구자들도 논문에서 “느리고 조절된 호흡은 수세기 동안 마음을 고요하게 만드는 방법으로 쓰였고 임상적으로도 공황발작 같은 과도한 각성을 억누르는 데 쓰인다”고 언급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박적 행복추구는 오히려 독이다2018.04.21
-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스스로를 돌보는 게 서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2018.04.17
- 주목된다. 아무튼 위산과다 환자들로서는 기대를 품게 하는 희소식이다. 구조 밝힌 결과 예측대로 작동해 학술지 ‘네이처’ 4월 12일자에는 보노프라잔이 붙어 있는 상태에서 양성자 펌프의 구조를 밝힌 일본 나고야대 연구자들의 논문이 실렸다. 즉 위 내강 쪽 문이 열린 채 칼륨이온 대신 ...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잠을 잘까?동아사이언스 l2018.04.14
- 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짧은 환경(겨울과 비슷한 수준)에서 11주 동안 노출시켰다. 그 결과 야생형은 휴면 상태를 유지해 잎의 생생함이 유지됐지만, B와 C는 그렇지 못해 잎이 많이 시든 모습이다. -사이언스지 제공 아브시스산은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식물체 내에 다량으로 만들어지는 ... ...
이전6156166176186196206216226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