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념관
진열관
자료관
미술관
뮤지엄
유적박물관
유적
d라이브러리
"
박물관
"(으)로 총 860건 검색되었습니다.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01
만들어진 것을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지금 덕수궁 궁중유물 전시관, 고려대
박물관
, 성신여대
박물관
, 기상청 등에 남아있는 앙부일구들은 대부분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에 걸쳐 만들어진 것들이다. 이처럼 조선시대에 광범위하게 만들어지고 쓰였던 앙부일구를 과학사학자 전상운 교수 ... ...
밀레니엄 베스트 사이트 10
과학동아
l
200001
형태의 과학자료들을 손쉽게 접할 수 있다. 무엇보다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면 이
박물관
에서 모아 둔 각종 사진 등을 곧바로 얻어낼 수 있다.피플스 보이스 어워드 부문을 수상한 ‘NASA의 과학’(science.msfc.nasa.gov)은 나사에서 제공하는 우주과학뉴스 사이트로 우주과학 분야의 최신 정보들이 ... ...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
과학동아
l
199910
모래바람 속에서 8천만년이나 잠을 자던 공룡들이 깨어나고 있다. 몽골 고비사막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공룡알 둥지가 발견되고, 프로토케라톱스, 오비랩터 등 ... 국제공룡탐사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지원해 우리가 연구한 공룡을 국립자연사
박물관
에 전시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10
삼고 최근까지의 변화 속도를 고려해 1백년 후의 한국인 얼굴을 복원한 조각이 현재 민속
박물관
에 보관돼 있다.그러나 한가지 커다란 변수가 있다. 바로 컴퓨터다.현대인이라면 아이나 어른 모두 컴퓨터 앞에서 장시간 앉아있는 일이 흔하다. 문제는 자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컴퓨터 작업을 할 때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10
오랜 시대에 걸쳐 형성된 다양한 암석들이 담겨져 있어, 우리나라 자체가 자연사
박물관
이다. 한반도가 미래에 어떻게 변하며 이에 따른 환경 변화는 어느 정도일까. 이를 예측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지식들이 모두 여기에 숨어있다. 이처럼 오랜 지질시대를 거쳐 암석에 남겨진 이 ... ...
고추의 매운맛은 자손 퍼뜨리는 수단
과학동아
l
199909
만드는 이유는 적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서이다. 애리조나-소노라 사막
박물관
의 식물생태학자 게리 나브한과 몬타나대학의 조슈 턱스베리 교수는 지난달 미국생태학회에서 “칠레고추의 매운 맛이 겨냥하는 것은 고추의 씨를 씹는 포유동물”이라고 말했다. 대신 조류는 씨를 먹기는 ... ...
세계의 밀레니엄 로봇 퍼레이드
과학동아
l
199909
도미미쓰비시가 4년 동안 1백만달러를 들여 개발한 것으로 1999년 미쓰비시 산업
박물관
에서 첫선을 보였다. 미쓰비시는 도미 외에도 4억년 전 살었던 ‘살아있는 화석’ 실러캔스도 개발했다.배구로봇도시바가 개발한 배구하는 로봇.휴머노이드 로봇사람의 다양한 동작을 연구하기 위해 ... ...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최초의 인간
과학동아
l
199909
문제가 있는 것들이다.그런데 필트다운인에 대해 목숨을 거는 학자가 있었다. 37세에 대영
박물관
장에 올랐던 아서 우드워드는 30년에 걸쳐 필트다운인을 연구한 다음 최초의 사람은 영국인이란 뜻의 ‘최초의 영국인’이란 책을 내놓았다. 그러나 1953년 필트다운인은 사람의 두개골에다 오랑우탄의 ... ...
제주도에 자연과학
박물관
짓는 금속공예가 이종옥
과학동아
l
199909
무겁다. 은암자연
박물관
운영난과 제주도 자연과학
박물관
사업 때문에 현재의 서울
박물관
건물뿐 아니라 작업 건물 모두를 곧 내놔야 할 실정이다. 이런 와중에 그가 걱정하는 것은 자료들의 안위뿐이다.“국가 기관이나 기업체가 50여만 점에 이르는 이 자료들을 제대로 전시하고, 보관해줄 수 ... ...
태백으로 떠나는 화석여행
과학동아
l
199909
시간여행을 떠난다면 오래 기억에 남을 것이다.태백 여행은 석탄
박물관
에서 시작한다.
박물관
에서 화석을 만나본 다음, 구문소를 찾아가보자. 구문소에서 삼엽충화석을 본 후에는 철암역 쪽으로 향한다. 철암역 부근 나팔고개를 가보면 고개 너머 터널 입구의 산비탈에서 삼엽충화석을 다시 만날 수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