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6,876건 검색되었습니다.
그것이 알고 싶다! 소시지는 발암물질?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3
같은 1군 발암물질이더라도 위험한 정도의 차이는 다르다는 거예요. 따라서 이번 WHO의
보고
서는 가공육 그 자체가 위험하다기보다는 지나치게 많이 먹는 게 몸에 해롭다는 게 핵심이에요.그런데 우리나라 국민들의 식습관이 가공육을 점점 더 많이 먹는 형태로 변하고 있어요. 식품의 약품안전처가 ... ...
출동! 우리 산림생물 바로 알기 탐험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2
숲으로풍덩 1조로 활동했던 김서현 대원은 “친구들과 함께 숲 속 나무들의 특징을 알아
보고
노래로 만들어 본 건 잊지 못할 추억”이라며, “내년에도 산림생물 바로 알기 탐험대가 되고 싶다”고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검은 물질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2
있는 얇은 비늘들이 빛을 사방으로 흩뿌려 딱정벌레의 등껍질이 화려하게 빛나는 것을
보고
, 이 현상을 반대로 적용했어요. 사방으로 흩뿌려진 빛을 한 곳에 가두는 구조체를 만들어 세상에서 가장 검은 물질을 개발한 거예요.금으로 만들어진 이 구조체는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작은 구 위에 가는 ... ...
기후변화의 비극 환경난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2
예측하고 있어요. 지난 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발표한 제5차 종합
보고
서에는 인류가 지금과 같은 추세로 온실가스를 계속해서 배출한다면, 2100년 경 지구의 평균 기온이 3.7℃ 오르고 해수면은 63cm 높아질 것이라는 내용이 실렸어요. 만약 온실가스 배출량을 상당히 줄인다고 ... ...
[특별 인터뷰] 개구쟁이 로봇과학자 데니스 홍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1
보냈답니다. 가장 큰 사고를 친건 화약을 만들어 로켓 날리기! 과학동아 같은 과학잡지를
보고
직접 화약을 만들어 로켓을 날려 봤어요.로켓을 날린 것까지는 문제가 아니었지만 남은 화약에 몽땅 불을 붙인 것이 문제였답니다. 큰 폭발이 일어났고 온 동네에 난리가 났지요. 그런데 부모님께서 크게 ... ...
미래를 엿보다! 201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1
지금은 버튼만 누르면 얼굴을 보며 통화하는 화상통화를 할 수 있어. 하지만 예전엔 상상 속에서나 가능하던 일이었대. 과학이 눈부시게 발전한 미래에 ...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은 내년에도 계속 될 거라고 하니 어과동 친구들도 꼭 가서 미래를 엿
보고
왔으면 해. 미래는 우리 것이니까 ... ...
[과학뉴스] 히말라야에는 재채기하는 원숭이가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1
날엔 무릎 사이에 얼굴을 박고 있는 습성을 가지게 되었다고 해요.리빙 히말라야 2015년
보고
서에는 이외에도 푸른 색의 눈을 가진 작은 개구리와 드라큘라처럼 송곳니를 가진 물고기 등 최근 6년간 히말라야에서 발견된 신기한 모습의 동식물이 실려 있어요. 세계야생기금은 히말라야에서 ... ...
명태가 사라졌다?! 新바다밥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1
바다에서 잡히는 바다 생물의 종류와 수가 바뀌는데엔 다양한 이유가 얽혀 있을 거라고
보고
있어요. 그 중에서 가장 주목 받는 원인은 ‘수온 변화’예요. 물고기들은 0.03℃의 수온 변화까지 몸으로 느낄 수 있거든요. 어린 물고기들은 더 민감하고요.그런데 동해의 표층 수온은 지난 40년간 ... ...
좌우를 바꾸고, 크기를 키우고~ 거울과 렌즈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1
고흐의 자화상에는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그대로 그린 것과, 거울에 비친 모습을
보고
자신의 원래 모습을 상상하며 그린 것이 섞여 있는 거지요. 2. 결혼식의 비밀이 볼록거울에!이 그림은 15세기 네덜란드에서 활동한 화가인 ‘얀 반 아이크’가 그린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이라는 ... ...
세상에 이런 이름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0
꽃을 피워요. 꽃잎 두 개는 큼지막한 반면, 나머지 한 개는 좀 작지요.린네는 이 모습을
보고
자신과 같은 시기에 활동한 식물학자들을 떠올렸어요. 당시 코멜리나(Commelina)라는 이름을 가진 세 명의 식물학자가 있었는데, 안타깝게도 둘만 유명했거든요. 참고로 개복치와 까치의 학명인 Mola mola와 Pica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