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d라이브러리
"
부피
"(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를 누빌 10kg급 초소형위성
과학동아
l
200401
인공위성은 태양전지판이나 안테나를 접은 상태로 발사체에 싣는다. 펼치면 전체
부피
가 커지므로 한정된 크기의 발사체에 싣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들이 우주공간에 올라가 펼쳐지는 과정에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하우셋-1은 태양전지판이 펼쳐지는 과정을 상세히 연구할 예정이다.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12
현재 전체 시장에서 50% 이상을 차지하는 리튬이온전지와 같은 화학적 특성을 띄지만 단위
부피
당 에너지 저장 능력에서 월등히 앞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앞으로 각종 모바일 기기가 갈수록 다른 기능들과 결합하면서 충전시간이 더 짧고 수명은 더 긴 에너지 공급원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들은 ... ...
공기·물·땅, 어느 것이 좋은가?
과학동아
l
200312
열전달이 잘된다. 열펌프가 물에서 열을 얻기가 그만큼 쉽다는 것. 이와 함께 물이 단위
부피
당 갖고 있는 열의 양(열용량)이 공기나 땅에 비해 크다는 점도 효율을 높여주는 이유다. 물의 열용량은 공기의 3천4백32배, 흙의 1.9배다. 물은 가장 효율 높은 열펌프 열원인 것이다.땅 가장 안정한 ... ...
크리스마스 선물 집에서 프린터로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312
고객으로 하고 있다.3차원 다중재료 인쇄 기술의 아이디어는 단순하다. 제품 디자인을
부피
픽셀인 수많은 복셀(voxel)들로 나눈 후 디자인의 각 위치에 3차원 프린터가 어떤 재료를 뿌릴지 정확하게 지정한다. 하지만 이 단순한 아이디어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도전을 극복해야 한다. 첫번째 ... ...
3 2020년에는 사이버 섹스도 가능
과학동아
l
200311
높이 차이를 재생시켜야 한다. 또 사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해볼 때 촉감재생장치는
부피
가 작아야 하고 장갑 같은 외부 장치가 없어야 한다.최근 미국 버팔로대에서는 자신의 손에서 느낀 딱딱하거나 부드러운 촉감 정보를 타인에게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아주 먼 ... ...
성큼 다가선 성층권 비행선 시대
과학동아
l
200311
이루는 기낭이다. 기낭은 전체 비행선의 하중을 감당하는 부력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부피
가 크고, 표면적 또한 넓다. 형상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공기역학적 항력을 줄이는 부분이다. 기존 비행선 본체는 항력계수가 약 0.04-0.05인데 반해, 성층권 비행선은 0.025 정도를 목표로 한다. ... ...
따돌림의 고통
과학동아
l
200311
등의 물질입자 1mol 속에 함유되어 있는 입자의 수 모든 기체는 등온 · 등압일 때 같은
부피
속에 같은 수의 분자를 포함한다는 법칙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아보가드로가 1811년에 가설(假說)의 형태로 수립한 물질의 분자에 관한 법칙이다 10세기 후반에 활약한 페르시아의 약리학자 헤라트에서 출생 ... ...
페트병 속에 가둔 구름
과학동아
l
200311
응결핵 역할을 한다.뚝딱 실험2 인사하는 페트병■왜 그럴까?!공기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부피
와 질량을 갖고 있다. 바닥을 잘라낸 페트병 안에도 공기가 있다. 따라서 물속에 넣으면 물이 페트병 안쪽으로 들어오면서 공기가 위로 밀려 비닐장갑 쪽으로 모이기 때문에 비닐장갑이 팽팽하게 ... ...
1 화석연료 대체할 최적 후보 수소에너지
과학동아
l
200310
수소를 연소시키면 일반 도시가스처럼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수소와 산소는 2:1의
부피
비로 연소하면서 물을 만들며, 이때 1kg당 2만8천6백20kcal의 열량을 발생시킨다. 이 열량은 0℃ 물 0.3t을 1백℃로 높일 수 있는 양이다. 또한 수소는 연료전지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 ...
3 달팽이가 제시한 인간 기억 메커니즘
과학동아
l
200310
시냅스의 구조가 변한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있다. 시냅스가 많아지면 전체 신경세포의
부피
가 증가하므로 뇌의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 현상은 원숭이 연구에서 확인됐다. 원숭이에게 특정한 학습을 반복적으로 시키면 뇌의 일정한 영역이 확장되는 것이다. 인간의 두뇌 역시 이와 비슷한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