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친구
동무
벗
짝패
동지
패거리
짝
d라이브러리
"
동료
"(으)로 총 1,288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을 읽는 삼각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삼각법은 코페르니쿠스가 태양중심설을 주장했을 때 큰 역할을 했다. 그는 제자이자
동료
였던 독일의 수학천문학자 레티쿠스로부터 ‘모든 종류의 삼각형에 대하여’라는 책을 받았다. 이 책은 독일의 천문학자 레기오몬타누스가 1464년에 완성한 책으로 삼각법의 모든 것을 담고 있는 책이다. ... ...
세균과 수염을 함께 기르면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여전히 병을 일으킬 만큼 위험한 수치였다.연구팀이 이런 실험을 하게 된 동기는 “
동료
미생물학자들이 수염을 제대로 깎지 않아, 위생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한다.즐거우면 아픈 것도 잊는다?!천식을 치료하는 데 심리적인 요인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히려고 천식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사람의 몸은 항상성을 잃을 수 있다. 그들의 기적 같은 생환의 비밀은 살고자 하는 의지,
동료
애, 연대의식 같은 얼핏 비과학적으로 보일 수 있는 요인들이 더 크게 작용하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 ...
칭찬 보다 비난이 더 신경쓰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시작했지만 사회에서 만난 사람들은 언제나 자신을 힘들게만 했다. 그는 직장 상사와
동료
들이 자신에게 관심도 없으면서 힘든 일만 시켜댔다고 말했다. 그에 의하면 이 세상에는 단 두 부류의 사람만 있었다. 하나는 피해를 받고 있는 자기 자신이고 다른 하나는 자신을 괴롭히는 사람들이었다. ... ...
내 옆에 있는 두 얼굴의 소시오패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않는다. 대신 사회에서, 특히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친구나
동료
를 이용해 고통을 주면서 제 이익만 추구하는 사람이다. 일반적인 사회생활이란 주고받는 상호작용을 전제로 한다. 내가 한 번 부탁을 하면 언젠가는 내가 갚아야 한다. 그런데 이들은 오직 받는 것만 있고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대한 기억을 억지로 잊으려고 노력하다가 극도로 긴장해 예민한 상태가 되기도 한다.
동료
들의 거의 다 죽고 자기 혼자 살아남았다는 이유로 죄책감에 빠지는 사람도 있다. 결국 불안장애나 우울증, 정신분열 같은 다른 정신질환이 생길 수 있다. 트라우마를 조기에 발견했거나 증상이 가볍다면 ... ...
하얀 이 검은 이, 자연선택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중요한 진화의 요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미국 유타대 생물학과 사라 부시 박사와
동료
들은 새의 깃털에 기생하는 ‘깃털 이’의 몸 색깔을 조사한 결과 깃털 색깔과 비슷한 경우가 많았다고 ‘아메리칸 내추럴리스트’ 10월호에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조류 가운데 같은 과(科)에 속하면서 깃털이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박은 전갈새벽 2시, 비행기는 적도를 넘어 남반구 하늘을 날고 있었다. 창가에 앉은
동료
의 탄성에 잠이 깼다.“정말 거꾸로 뒤집어졌네!”전갈자리가 북반구와 달리 땅쪽으로 머리를 박고 있다. 아! 이제 남반구 하늘에 들어섰구나. 비행기가 남쪽으로 내려갈수록 전갈이 머리를 더 숙인다. 마치 ... ...
토끼농장 에서 벌어진 엽기적인 사건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토끼들이 이 토끼를 ‘외모 때문에’ 심하게 따돌린 모양이다. 수의사의 말로는 동물도
동료
들 중에 생김새가 다르거나 몹시 약해 보이는 녀석이 있으면 지독하게 따돌리는 일이 있다고 한다. 이 농장의 토끼들도 예외가 아니었다. 녀석은 이른바 심각한 ‘왕따’를 당했고 그로 인한 극심한 ... ...
LED가 만들 형형색색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자유롭게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최고의 시간이었다. 좋은 연구 시설에서 좋은
동료
들과 함께 화합물반도체와 LED소자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었다.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 유수 기관을 경험하며 우리 연구실의 세계적인 수준을 몸소 깨달았다.현재 우리 연구실을 졸업한 연구원들은 LED, 반도체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