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d라이브러리
"
물리
"(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담수담] 수학과 문학의 수상한 만남-함기석 작가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생각이 들어 정확한 이론을 알아야겠다고 느낀거죠. 처음에는 순수하게 알고 싶어서
물리
학 공부를 시작했지만 막상 공부하고 나니 작품을 쓰는 데도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함 작가님은 “창작하는 사람들이 수학, 과학 도서를 읽고 사고하면 작품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 ...
[과동키즈] 어린 날에 바라보던 저 달은 여전한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어렵다는 것을 깨달음과 동시에 사춘기가 찾아왔다. 어릴 때부터 장래희망 적는 칸에 ‘
물리
학자’밖에 써 본 적이 없던 나는 목표를 잃어버리고 한껏 예민해졌다. 반발심에 문과를 선택했지만 어떤 전공을 선택할지 막막했다. 오랫동안 정기구독하던 과학동아를 해지했던 것도 그쯤이었다.인생의 ... ...
[기획] 순간 포착! 빛이 번쩍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섬 주변 남태평양을 가로지르는 폭풍 속에서 우연히 블루제트를 관측한 거예요. 대기
물리
학자인 솔스텐 뉴버트는 “16km 높이의 구름 꼭대기에서 10μs(마이크로초·1μs는 100만 분의 1초) 동안 밝게 빛나는 푸른빛의 섬광*을 관측했다”며, “이 제트가 고도 약 52km까지 솟아올랐다”고 설명했습니다. ... ...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짚어봅시다. 가시광선의 파장은 약 5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입니다. 독일의
물리
학자 에른스트 아베가 만든 공식에 따르면 광학현미경이 구분해 관측할 수 있는 물체의 최소 크기는 파장의 절반입니다. 약 250nm보다 작은 크기의 대상을 가시광선으로 관찰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광학현미경의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사람과의 삶을 택한 맹금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근육이 굳어 날개가 온전히 펴지지 않았다. 야생동물도 사람과 비슷하다. 이런 경우엔
물리
치료가 필요하다. 마사지와 스트레칭, 온열 치료, 그리고 휴식을 번갈아 하며 재활을 진행했다. 그 결과 구조된 지 두 달 만에 다시 하늘을 날 수 있었다. 끈끈이에 오도가도 못한 황조롱이 쥐나 벌레를 ... ...
[핫이슈] 지 프라임? 렙토쿼크? 새 입자가 LHC 실험결과 설명할까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뮤온압축솔레노이드(CMS) 검출기를 이용해 입자
물리
학 연구를 진행 중인 양운기 서울대
물리
천문학부 교수는 “앞선 뮤온 자기모멘트 측정 실험값과 이번 B중간자 붕괴 실험값이 둘 다 이론과 어긋난 이유는 미지의 새로운 입자 때문일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요인 때문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 ...
낯선 생물이 내 터전에 들어왔다...생태계 악당 침입종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식물은 자연 생태계에서는 농약을 쓸 수 없기 때문에 뿌리 채 뽑거나 줄기를 자르는 등
물리
적인 방법을 쓴다”고 말했다. 중장비를 이용해 토양을 엎으면 오히려 씨앗 발아율이 높아져 주의해야 한다. 천적을 찾아 풀어주는 방법도 있다. 가로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국립수목원과 미국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7화. 한국의 잊힌 국론 대가, 이임학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1939년 서울 경성제국대학에 입학합니다. 그 당시 경성제국대학에는 수학과가 없어서
물리
학과로 입학했죠. 우리나라가 독립한 다음 해인 1946년 이 교수는 불과 만 24세의 나이로 경성대학(현 서울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됩니다. 어린 나이에 교수가 될 수 있었던 이유에는 이 교수의 뛰어난 수학 ... ...
[킹앤유] 동아리방, 어디까지 찾아봤니?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
목성의 오로라가 특별한 이유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고위도 지역에서만 오로라가 발생한다.피터 델라메레 알래스카 페어뱅크스대 지구
물리
학연구소 교수는 “자기권을 이해하는 방식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온 연구”라고 평가했다. doi: 10.1126/sciadv.abd120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