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고온 플라스마 상태에서 스스로 연소하도록 하는, 즉 핵융합
반응
을 지속적으로 일으키는 기술을 검증할 계획이다. ITER가 완공되면 우리나라를 비롯한 7개 회원국의 연구진이 ITER에 파견돼 실험을 수행하며 핵융합 연소장치의 다양한 운전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후 ... ...
Q&A로 풀어보는 핵융합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인도 등이 각각 특징 있는 핵융합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낮은 온도에서 핵융합
반응
이 일어나는 저온 핵융합(상온 핵융합)도 있다고 들었는데요. 실현 가능한 기술인가요? 현재 과학계에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주된 의견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전혀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상온 ... ...
[2020 노벨상] 생리의학상 │ 미지의 간염 바이러스, 정체가 뭘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발표됐다. doi: 10.1126/science.2523562또 추가 연구를 통해 이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반응
하는 항체가 만성 간염 환자들에게 일관되게 발견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염기서열을 분석해낸 새로운 바이러스가 그동안 찾고 있던 바이러스임을 알게 된 것이다. 미지의 바이러스는 이때부터 C형 간염 ... ...
우리는 균이 필요하다..유산균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생기며 유해균이 몸으로 퍼질 수 있다. 일종의 ‘누수’가 생기는 셈이다. 이런 염증
반응
은 면역을 불균형하게 만들고, 이때 ‘여드름균’이라고 불리는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가 퍼지면 모낭에 염증(여드름)이 발생한다. CJLP55는 장내 면역 균형을 맞춰 여드름을 줄이는데 도움을 ... ...
[융복합 파트너@DGIST] 나노 상자에 ‘쏙’ 담아 자동차 배기가스 없앤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설명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금속유기구조체의 대부분은 수소화붕소리튬 등 물 분자와
반응
성이 높은 환원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물에 담그면 구조가 무너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연구팀이 제작한 1가 구리 이온(Cu+) 금속유기구조체는 수분안정성이 높은 하이드로퀴논 환원제를 사용해, 공기 중 ... ...
[스쿨 리포트 A+]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온실 기체 감축 장치 만들기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도면에 표현하고 모형을 제작해야 합니다. 일례로 지구의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금속의
반응
성을 이용해 온실 기체인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장치를 고안한 프로젝트가 있습니다.아이디어를 실제 프로토타입으로 완성하기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모형을 제작하기 전 아이디어 발표회를 통해 과학적 ... ...
[통합과학 교과서] 장미가 잘 자라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했어요. 그리고 이
반응
이 북극의 기후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지요. 그 결과, 이산화탄소가 현재보다 2배 증가하면 육지에 있는 식물들이 기공을 닫아 기온이 올랐어요. 이 과정은 지구를 순환하는 대기 시스템에 따라 육지와 ... ...
[수학뉴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가 수학 전공자라고?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추정할 수 있어 정보 비대칭으로 인한 비효율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경쟁 상대의
반응
을 고려해 최적의 선택을 하는 수학 이론인 ‘게임이론’을 기반으로 합니다. 노벨위원회는 이 경매 방식이 사회 전체의 최대 이익을 도출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습니다.미국은 1994년 이동통신용 무선 ... ...
[한페이지 뉴스] ‘빗물이 산을 깎는다’ 숫자로 증명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동위원소(10Be)의 비율을 측정했다. 베릴륨 동위원소는 우주선(cosmic ray)이 지표 물질과
반응
해 생성되기 때문에 베릴륨 동위원소의 비율을 조사하면 퇴적물이 외부에 얼마나 오래 노출됐는지 계산할 수 있다.이를 바탕으로 암석이 모래 알갱이가 되기까지 침식이 일어난 속도를 계산했다. 연구팀은 ... ...
코로나19 덕분에 vs. 때문에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통해 생물의 세포벽을 파괴하고 단백질을 변형시킬 뿐만 아니라, 다른 화학물질과
반응
해 클로라민이나 N-니트로소디메틸아민 등의 발암물질을 생성한다고 보고했다. doi: 10.1126/science.abb8905 온실가스는 다시 증가 올해 4월까지는 공기 중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통합 탄소 관측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