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정식"(으)로 총 1,2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있었나요?1970년 세계적인 과학자인 스티븐 호킹과 로저 펜로즈는 입자 이론에 장 방정식을 이용했습니다. 그 결과 우주가 계속 팽창하고 있고, 부피가 0인 아주 작은 한 점에서 거대한 폭발(빅뱅)이 일어나 우주가 생성됐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밝혀냈지요. 또 먼저 빛이 생긴 뒤, 질량 입자가 ... ...
- [수학뉴스] 완벽한 피자를 만들기 위한 수학 공식이 있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영국 셰필드대의 수학자 유지나 챙 박사다. 그녀는 이미 완벽한 크림 티 스콘을 만드는 방정식으로 유명하다. 챙 박사는 이번 연구에서 피자 도우의 넓이와 두께, 토핑의 넓이와 두께 등 몇 개의 수식을 합해 완벽한 피자 공식을 만들었다. 완벽한 피자를 만들기 원하는 사람이라면, 가장 맛있는 ... ...
- 소수를 쪼개면 우주가 열린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물질의 근본을 찾으려는 것처럼 수학자들도 가장 근본적인 수를 찾으려 노력한다.페르마 방정식에서 해의 유한성을 증명한 세계적인 수학자,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는 최근 발간한 책 ‘소수 공상’에서 현대물리학의 정수인 기본입자와 소수 사이에 흥미로운 유사성이 있다고 밝혔다. 수학콘서트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바로 힉스 입자의 존재다. 이 내용을 힉스 교수의 논문에서 직접 인용해보면 이렇다. “방정식 2b는 벡터 파동(장 또는 입자를 의미)이 질량을 가진다는 사실을 알려준다.”양자장론에 따르면, 장이 있다면 곧 해당하는 입자가 있다. 힉스 교수의 논문은 질량을 지니는 새로운 장의 존재를 예상하고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양자화학 수준에서 화학반응을 예측할 수 있다. 분자구조만 알면 가우시안으로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어서 전자들의 상태와 에너지를 쉽게 계산할 수 있어 지금도 쓰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개발자들은 이 업적으로 1998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하지만 가우시안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 ...
- 과학동아가 선정한 이달의 책 - 쉡게 줄 수 있으면 난제가 아니지!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들어봤음직한 낯익은 난제부터, 앞서 소개한 질량간극 가설, 호지 추측,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등 제목도 어지러운 문제까지 14가지 위대한 수학 문제들이 자세히 소개돼 있다.얼른 질량간극 가설 부분을 펼쳐 읽었다. 입자물리학에 대한 글이라면 적지 않게 읽어봤지만, 서술하는 내용이 결코 ... ...
- 서울공대 카페 ➓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수행했다.그런데 원자로에서 핵반응 특성을 제대로 예측하려면 ‘볼츠만 중성자 수송방정식’이라는 엄청나게 풀기 어려운 수식을 풀어야 된다. 이걸 가능하게 해주는 게 고성능 컴퓨터를 사용한 수치해법이다. 주 교수는 “세계 최첨단급의 원자로 물리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해 미국과 독일 같은 ... ...
- [체험] 유신고등학교 수학동아리 MAX수학동아 l2013년 10호
- 해낸다.수학주간 행사는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모아 주도적으로 준비해요. 올해 주제는 ‘방정식의 역사’였어요. 데카르트, 가우스 등 중요한 수학자의 이름을 알아맞히는 퀴즈 이벤트도 열었어요. 이때 재미있는 가로세로 낱말 퍼즐을 기획하는 센스를 발휘했죠. 덕분에 학교 친구들의 참여율이 ... ...
- [동아리탐방] 우리는 수학을 사랑하는 N.O.M수학동아 l2013년 09호
- 교구를 만드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저는 고등학교 1학년 교과과정 중 직선의 방정식에서 대칭 개념을 배울 때 ‘대칭패드’의 아이디어를 얻었어요. 대칭이라는 개념은 어떻게 보면 쉽고, 또 어떻게 보면 어려워요. 저는 대칭 개념을 중학생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직관적으로 보여 ... ...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숫자들의 배열을 생각해야 한다는 추상적인 행렬역학에 비해, 물리학자들에게는 파동 방정식이 훨씬 친근했기 때문이다. 전자가 파동이라는 사실만 받아들이면 되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 당시에 무엇의 파동인지는 여전히 논쟁거리였다. 오늘날 우리는 이것이 확률의 파동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