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육
생식
증식
개량
산식
기르기
교육
d라이브러리
"
번식
"(으)로 총 1,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라진 귀신고래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8호
멸종위기에 처해 있어요. 사람들이 무분별하게 고래를 많이 잡은데다 귀신고래가
번식
을 잘하지 않는 특성 때문에 더욱 보기 힘들어졌죠.김국현 기자 : 아~, 이제 실제로 귀신고래를 만나기 어렵다니 너무 아쉬워요.우리나라에서 처음 고래를 잡기 시작한 때는 신석기시대로, 지금으로부터 약 8000년 ... ...
특명 사라진 가을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않게 되죠. 결국 힘이 약해진 식물들은 병에 걸리기 쉬워져요. 열매에도 영향을 주게 돼
번식
이 어려워질 수도 있답니다." -이돈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교수)잠깐! 단풍 색이 이상해~가을이 사라지면 아름다운 단풍을 볼 수 없을지도 몰라. 단풍은 가을을 맞은 나무가 겨울을 준비하며 잎의 ... ...
시원한 여름나기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금세 환기할 수 있어 열손실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 습도가 적당하게 유지되어 세균의
번식
을 막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 한옥도 대청마루의 툇마루가 지면보다 높고 통풍이 잘 되어 시원하다. 차가움을 더하자!쨍쨍 내리쬐는 햇볕이 따가운 날엔 바람조차 후끈후끈~. 냉장고 문을 활짝 ... ...
해양 생물의 낙원 츄라우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얼마 전에 새끼를 낳았거든요. 벌써 3번째랍니다. 만타 가오리를 수족관에서 사육하면서
번식
에 성공한 것은 츄라우미 수족관이 처음이랍니다. 이 곳은 해양생물의 낙원츄라우미 수족관은 일본 최남단에 160개 섬으로 이루어진 오키나와 현에 있어요. 일본에서 유일하게 아열대 해양기후에 속하는 ... ...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간이나 담낭에 이상이 생기고, 석유에 반응한 효소가 몸에 쌓이는 등 변화가 나타나지.
번식
을 못 하게 되기도 해.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 상괭이!허베이스피리트 호 사고 때 고래의 일종인 상괭이의 사체도 여럿 발견됐어. 하지만 수의사 선생님의 부검 결과 석유때문에 죽은 것은 아니었대. 태안 ... ...
동화 같은 자연의 나라, 뉴칼레도니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만나러 오느라 얼마나 고생했는지 알겠지? 게다가 난 1년에 알을 하나만 낳을 정도로
번식
률이 낮아서 한때 멸종위기에 처했었어. 하지만 지금은 보호를 받아 600마리까지 그 수가 늘어났단다. 멜라네시안 문화가 생생뉴칼레도니아에서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게 또 하나 있어. 바로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한다.황새복원사업의 최종 목표는 과거처럼 야생 서식지에 황새들이 스스로 생존과
번식
을 하는 상태다. 이를 위해서는 서식지인 논과 습지를 함께 복원해야 한다. 농경지 내에 둠벙(웅덩이)과 물고기 길(어도)을 다시 만들고 겨울에도 논에 물을 담아 두어야 한다. 화학비료 사용도 자제해야 한다.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실험한다.선형시험수조의 길이는 200m나 된다. 수조 속에 플랑크톤 같은 생명체가
번식
하는 것을 막기 위해 햇볕을 차단하기 때문에 캄캄한 동굴처럼 그 끝이 보이지 않는다. 수조에는 2만 3000t의 물이 들어가는데 물을 채우는 데만 한 달이 걸린다. 이 정도 규모의 수조는 세계적으로도 20여 개에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인공 박테리아를 쓸 가능성이 높다. 테라포밍하려는 행성에 풍부한 물질을 먹이로 삼아
번식
하는 박테리아, 행성 고유의 광물에서 건축 재료로 쓸 금속을 뽑아 내는 박테리아 같은 맞춤형 미생물이 외계행성에 착한 인류의 첨병이 될 것이다.정착하려는 행성이 화성처럼 대기가 희박하고 기온이 ... ...
에너지 ‘1등급’ 오랑우탄의 말 못할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갖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연구진은 이런 체질 때문에 오랑우탄의 성장과
번식
이 느려졌고 결국 대를 잇기도 어려워졌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사람은 약 2년마다 출산이 가능한 반면 오랑우탄은 7~8년마다 새끼를 갖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8월 10일자에 나왔다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