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탄소를 품어 지구를 지키다, 해안의 보물, 갯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갯벌에는 더 많은 퇴적물이 쌓인다. 우리나라는 막대한 블루카본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우리나라의 연간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2017년 기준 약 7억910만t이다. 2007년부터는 산림이 탄소 흡수원으로 인정받아 국가통계에서도 유일한 온실가스 저감원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2013년 산림부문의 ... ...
- [전지적 수학 시점] 1010! 경우의 수로 최고 점수 얻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1+2+…+6)×10=210점을 추가로 얻을 수 있으니 한 번에 얻을 수 있는 최고 점수는 219점인 셈이죠. 하지만 3개의 블록이 무작위로 나타나므로 전략을 세운다는 게 쉽지 않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가능한 높은 점수를 얻는 것! 완벽한 전략은 없지만, 경우의 수를 이용해 되도록 높은 점수를 얻는 전략을 ...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얼음 핵이 성장할 시간을 충분히 준다. 최대빙결정생성대를 최대한 길게 지나가게 하는 셈이다. 아이스크림 내부 수분의 동결 비율도 식감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가령 소프트 아이스크림을 만드는 영하 4~6도에서는 전체 수분의 약 55%만 얼음으로 존재하고 나머지는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딱딱하고 ... ...
- 양자역학 논쟁 중 탄생한 슈뢰딩거 캣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때 2(큐비트의 수) 만큼의 계산을 할 수 있어.예를 들면 큐비트 1개가 0인 동시에 1인 셈이니까 2개의 큐비트는 00, 01, 10, 11 총 4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어. 만약 4개라면 총 24(=16)가지겠지? 시커모어는 큐비트가 53개니까 총 253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는 거지. 이 말은 이만큼의 계산을 한 번에 수행할 수 ... ...
- [과학뉴스] 나일강 물줄기 미스터리 풀렸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나일강 유역의 지각판을 계속해서 한쪽으로 당겨 물줄기가 휘지 않고 유지되게 만든 셈이다.파세나 교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맨틀의 흐름이 강의 물줄기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규명했다”며 “만약 맨틀의 흐름이 없었다면 나일강 물줄기는 북서쪽으로 휘어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가지고 있다. 엘사 같은 초능력자는 원자력발전소 하나와 맞먹는 에너지를 낼 수 있는 셈이다. 쿠잔┃화력발전소 1~2기 수준 에너지 만들어일본 애니메이션 ‘원피스’에는 엘사와 비슷한 능력을 보유한 얼음 능력자 ‘쿠잔’이 등장한다. 쿠잔은 ‘얼음얼음 열매’를 먹고 나서 얼음을 자유롭게 ...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ICT)을 기반으로 돌아간다. 개인의 삶 전체에 정보통신기술이 녹아 있는 도시인 셈이다. 그런데 만약 스마트시티가 해커의 공격을 당한다면 어떻게 될까. 스마트시티의 모범 사례로 꼽히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는 2014년에 실험 하나가 진행됐다. 네덜란드 온라인 미디어 ‘드 코레스펀던트’의 ... ...
- 신비한 양자컴퓨터, 영~롱한 샹들리에의 정체는?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온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한 냉각 장치라는 사실! 즉, 샹들리에는 양자컴퓨터 칩의 집인 셈이지. 어디 구경 좀 해볼까? 집 없는 길냥이 친구들이 무척 부러워하겠군! ●양자컴퓨터 전쟁의 시작양자컴퓨터란 관측하기 전까지는 양자가 가진 정보를 알 수 없다는 양자역학의 ‘중첩’을 이용해 만든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하루에 퇴비를 2g 생산한다. 실지렁이 1000마리면 하루에 2kg의 퇴비를 만들 수 있는 셈이다. 덕분에 지렁이는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사육하기에 적합하며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동물로 인정받아 2004년 소, 돼지와 동급인 가축으로 지정됐다. 최근 농가는 물론 도시에서 생활하는 ...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수명이 우주의 진화와 정밀도를 계산할 때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주요 변수로 작용하는 셈이다. 중성자가 암흑물질로 붕괴한다면?878초와 888초. 이 양립할 수 없어 보이는 두 실험 결과가 모두 옳은 값일 가능성도 있을까? 물리학자는 이런 불가능한 상태를 가정해 해법을 찾아내는 사람들이다.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