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흡수
새김질
소각
분멸
소거
제거
소화력
d라이브러리
"
소화
"(으)로 총 1,322건 검색되었습니다.
은수저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알루미늄을 ‘환원제’라고 표현한다. ‘
소화
제’가 스스로
소화
되는 약이 아니라 ‘
소화
를 시켜주는 약’이듯이 자신이 환원되지 않고 ‘다른 물질을 환원시키는 물질’이 ‘환원제’다.실험에서 식소다를 넣은 이유는 뭘까? 식소다 즉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전해질’(물에 녹아 이온화하는 ... ...
겨울 별미로 거듭난 꽁치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성장한다. 꽁치는 창자가 매우 짧고 위가 없기 때문에 몸집이 크게 자란 뒤에도 주로
소화
가 잘 되는 작은 갑각류, 다른 물고기의 알과 어린 새끼 등을 잡아먹으며 살아간다. 몸길이는 40cm 정도까지 자라며, 수명은 2년 정도로 알려져 있다.봄에는 손으로 꽁치 잡는다?‘전어지’에 실린 내용을 ... ...
그랑제콜 두고 서울대 온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2년 전 필자는 중대한 결정을 내렸다. 당시 필자가 다니던 프랑스 생테치엔 에콜데민 그랑제콜은 서울대 공대와 공동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는 ... 앞두고 있어 긴장된다. 하지만 다른 문화와 다른 연구방식을 접하고 이를 내 것으로
소화
한다면 앞으로 발전에 밑거름이 되지 않을까 ... ...
산
소화
효소 중간체의 비밀 밝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내 ‘사이언스’에 다시 한 번 논문을 게재했다. 생체 내 산
소화
효소의 신비를 풀 수 있는 기반을 모두 마련한 셈이다. 2007년에는 효소 중간체의 축을 변화시킬 때 화학적 성질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연구해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했다.연구단은 효소 ... ...
살아 숨쉬는 자연의 보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4호
살아요. 뱀은 먹이를 먹을 때 씹지 않고 턱을 크게 벌려 한 번에 삼킨 뒤, 천천히
소화
시킨답니다. 동박새의 멋●입선/오명언초록색과 연한 갈색이 어우러진 예쁜 동박새가 나무에 앉아 숲 속의 분위기를 즐기고 있어요. 동박새는 우리나라 텃새로 한반도 남쪽에서 주로 볼 수 있습니다. 주로 나무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칼슘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는 식품이다. 하지만 우유에 알레르기가 있거나 우유를
소화
시키지 못하는 사람이 억지로 우유를 먹을 필요는 없다. 우유 대신에 다른 식품을 골고루 먹어도 몸에 필요한 영양분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예방접종은 백신을 팔기 위한 제약업계의 음모다. 질병을 일으키는 ... ...
소금 법정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됩니다. 그러므로 소금을 먹지 못하게 되면 위액 중의 염산의 농도가 묽어져 음식물을
소화
하고 흡수하는 데 지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어떻습니까? 이래도 소금이 나쁘다고만 하실 겁니까? 두 번째 변호인 : 화학자화학 물질의 어머니, 소금저는 화학자입니다. 화학과 소금은 무슨 관계이기에 이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길어서 감각기관의 역할을 하지. 또한 적은 산소와 먹이로도 생존할 수 있도록 특이한
소화
기관과 호흡 기관을 갖고 있단다. 외부의 생물과 섞이지 않은 채 독특한 환경에 적응한 생물들은 다른 생물과 달리 특이한 면이 많기 때문에 색다른 지식을 얻을 수 있어. 이런 특이한 생물을 통해 우리는 ... ...
스트레스 NO! 즐겁게 등교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빨라진다.위위산과 펩신이 너무 많이 나와 속이 쓰리다. 위궤양 등의 염증이 생기고
소화
가 잘 되지 않으며 구토가 나기도 한다.장일정한 속도로 꿈틀대는 장이 경련이 일으키거나 굳어지면서 설사나 변비가 생긴다. 자꾸 화장실에 가고 싶어진다.개학 스트레스 탈출 비법어휴~! 스트레스가 우리 ... ...
[생명과학]흰개미 생존의 비밀은 이중 공생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역할에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흰개미가 나무의 섬유질, 즉 셀룰로오스를
소화
할 수 있는 이유는 장내 원생생물인 수도트리코님파(Pseudotri-chonympha) 때문. 그런데 이 원생생물의 세포 안에는 CfPt1-2라는 박테리아가 무려 10만 마리나 살면서 원생생물이 만들어내는 당을 빨아먹는다. 이들은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