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으)로 총 4,29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N - S 방정식의 약해는 2개!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도대체 물총 싸움에서 어떤 영감을 얻은 거냐고? 유체가 도넛 모양이라면 N-S 방정식의 약해가 몇 개인지 알 수 있겠더라고.재빨리 아이디어를 정리해 ... 그렇지 않아요. 이번 연구는 제 수학자 동료가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거예요. 앞으로도 저는 동료와 함께 재미있게 수학을 풀고 싶어요 ... ...
- [핫이슈] 스파게티 면 던지지 마세요! 면들이 서로 붙은 정도만 확인하세요~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실험한 결과와 집에서 한 결과가 크게 다르지 않았으니, 여러분도 직접 실험해 보세요. 저는 ‘연성물질’이라고도 부르는 부드러운 물질에 관심이 많아요. 고등학교 때 인공 근육과 소프트 로봇에 관해 연구했는데, 거기에 쓰이는 물질이 실리콘과 같은 부드러운 물질이거든요. 그때부터 ... ...
- [인터뷰] 이상한 수학의 매력에 퐁당~!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한 마디!김동휘, 조윤서: 수학이 우리 주변 곳곳에 있다는 사실을 꼭 알았으면 좋겠어요. 저희가 여러분 나이 때 수학이 이렇게 가까이 있고 재밌는지 알았다면 수학을 매우 좋아했을 것 같거든요. 빨리 수학의 매력에 빠져보세요! *용어정리리만 가설: 독일의 수학자 베른하르트 리만이 1859년 ... ...
- [출동! 슈퍼M] “연필은 왜육각형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친구들! 화창한 봄날 마음껏 누리고 있나요? 저 슈퍼M도 아름다운 계절, 봄을 한껏 만끽하고 있답니다. 오늘은 ‘열공모드(study_hard)’님이 메일을 보내줬어요. 어떤 이야기인지 볼까요? 최초의 육각형 연필 등장!지금 우리가 쓰는 것과 비슷한 모양의 연필은 1560년 무렵에 처음 탄생했어요. ... ...
- [화보] 인어와 함께 떠나요! 바다왕국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정착하곤 한답니다. Q 작가님의 작품을 보고 사람들이 무엇을 느꼈으면 하나요? 저는 바닷속 세계가 얼마나 중요하고 아름다운지를 보여주고 싶어요. ‘바다’를 떠올리면 우리 삶과 가깝지 않은 것 같지만 생각보다 많이 의존하고 연결되거든요. 그래서 바다 생태계가 무너지면 우리 삶도 무너질 ... ...
- [인터뷰] "저 수학 좀 했어요!" 코미디언 황제성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보게 됐는데 덜컥 합격해서 지금까지 하고 있죠. 남을 즐겁게 하니까 보람도 크고, 저와 생각이 잘 맞는 동료들도 주위에 많아서 제 직업이 좋아요. Q 앞으로의 계획은요? 엄청난 계획을 휴대전화에 써놨는데, 잠깐만요. 여기 있네요. 음‘올해 맛있는 거 많이 먹기!’ 많이 먹고 에너지가 넘쳐야 ... ...
- [가상 인터뷰] 꿀벌도 홀짝 구별한다!수학동아 l2022년 07호
- 2, 4, 6, 8 등 짝수를 구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Q. 어떤 실험이었나요? 먼저 연구팀은 꿀벌을 A와 B그룹으로 나누고 1~10개의 도형이 그려진 카드를 보여줬어요. A그룹의 경우 도형이 짝수 개 있는 카드를 고르면 설탕물을, 홀수 개 있는 카드를 고르면 맛이 쓴 물을 줬어요. B그룹에는 이를 ... ...
- [주니어 폴리매스] 폴리매스 어셈블!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느끼면서도 정말 재밌어해요.폴리매스 회원중에서도 저와 같은 분이 많을 것 같아요! 저는 중고등학생때 도형 관련 문제를 풀다가 막히면 ‘지오지브리’라는 사이트에 들어가 도형을 그리며 놀았어요. 그러다 문제의 해답을 찾기도 했지요. 그래서 이번에 준비한 문제는 지오보드에서 만들 수 ... ...
- [가상 인터뷰] 스티커처럼 톡! 필요할 때만 꼬리를 떼어내는 도마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부탁해!안녕하세요. 저는 위기의 순간에 꼬리를 잘라 도망치는 도마뱀이에요. 저를 잡아먹으려는 포식자로부터 탈출하기 위해서죠. 제 꼬리는 평소에는 몸에 잘 붙어있다가 위급 시 몸에서 툭 떨어뜨릴 수 있어요. 미국 아부다비뉴욕대학교 생체공학과 송용억 교수팀은 도마뱀과 도마뱀붙이 3종을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제주도 우도에는 구르면서 자라는 돌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그 뒤로도 저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우도 앞바다에서 홍조단괴를 구경했습니다. 저보다도 몇십 배 오래 자란 돌들이 굴러다니는 모습이라니, 이 정도면 산호모래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귀한 광경 아닐까요? 필자소개 우경식(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지질학 교수)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