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상"(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세상에 등장했기 때문에 아직 충분한 검증을 거치지 못했다. 우리가 설계한 환경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할지 확신이 없다며 몽이님이 특히 반대를 했다. 반대로 필자는 무리를 해서라도 이 칩을 사용하고 싶었다(칩의 성능이 그만큼 뛰어났다). 격렬한 토론 끝에 결국 이 칩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닥을 ... ...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용량을 수백 GB로 줄인다.생명의료HPC연구센터에서는 환자에게서 얻은 염기서열 정보를 정상인과 비교해 돌연변이가 일어난 유전자를 찾아낸다. 최근에는 수천 명에서 수만 명 단위로 특정 질병을 가진 환자들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이 센터장은 “현재 KISTI에서 보유한 유전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척추 교정 클리닉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있지요. 그런데 척추가 휘어져 있는 경우, 이를 ‘척추측만증’이라고 부른답니다. 보통 정상적인 모양에서 10° 정도 틀어지면 초기, 15° 이상 틀어지면 중증, 30~40° 이상 틀어지면 악성으로 판단하지요.기자단 친구들은 떨리는 마음으로 척추 검사를 받기 시작했어요. 과연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요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118마리는 이런저런 사고로 부상을 당했다. 인공지능 영상 판독 프로그램이 부상 당해서 정상과 다른 패턴을 보이는 제비 새끼의 움직임을 인식하면, 우리는 그 영상을 눈으로 살펴 보았다. 직접 살펴 보고 부상인 것이 확실하면 우리는 대기 중인 수의사 팀을 출동시켰다. 그러면 수의사팀은 다친 ...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밝혔다. 그의 관점으로 봤을 때, 간의 복잡한 기능 중 우리가 아직 모르는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후유증이 생기는 것일 수 있다.더 큰 문제는 친족 사이의 이식이 많은 한국 특성상 후유증을 입밖에 내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자칫 가족 간 불화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엎친 데 덮친 ... ...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테아닌이 모두 효과가 있었다. 홍 교수는 “테아닌은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정상범위로 이끌어주는 기능을 한다”고 말했다. 또한 테아닌이 글루탐산만이 아니라 도파민, 세로토닌 등 여러 신경전달물질에도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정확한 작용 원리에 대해서는 불명확한 부분들이 ...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몸무게가 더 많이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B팀은 체질량지수를 따지면 오히려 저체중에서 정상체중으로 바뀌었다고 주장했다.라면 끓일 때 스프를 먼저 넣어야 맛있다는 이야기를 한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과연 실제로도 그럴까? 통계포스터 만들기는 생활 속에서 궁금한 주제를 잡아 조사하고 분석한 ...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새로운 세포를 더 많이 만들기 위해서다.2. 기로에 선 피루빈산의 운명은?암 세포는 정상 세포가 거의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에너지를 만들기도 한다. 포도당은 세포질에서 완전히 쪼개져 피루빈산이 된다. 피루빈산은 원래 미토콘드리아로 운반돼 ATP를 만드는 데 쓰이지만, 암 세포에서는 ...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나타낸 다음 이를 풀어 전염성이 얼마나 강한지 알아낸다. 감염자는 회복하면 다시 정상인이 되고, 죽으면 사망자가 되기 때문에 이 둘의 관계만 방정식으로 나타내면 된다.그런데 좀비 전염병 모델에서는 죽은 사람이 부활해 좀비가 되기 때문에 사망자에서 좀비가 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또 ... ...
- [과학뉴스] 냉방병 원인균의 독특한 유비퀴틴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알려진 적이 없는 새로운 유비퀴틴화 과정을 찾아냈다. 보통의 유비퀴틴화 과정은 비정상 단백질에 E1, E2, E3 세 효소가 연쇄적으로 붙고 마지막에 유비퀴틴 단백질이 붙는 순서로 이뤄진다. 그러나 냉방병 원인균에서는 E3 효소 하나만 있어도 유비퀴틴이 목표인 변성 단백질에 붙으면서 유비퀴틴화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