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해"(으)로 총 2,1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올바른 인터넷 문화 세운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곧 프로젝트 주제가 되고,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다.주제가 정해지면 제작에 필요한 음악과 사진, 영상을 찾아 활동지에 기록한다. 활동지를 참고해 알고리즘을 완성하면, 2주차에 스크래치로 영상을 만들고, 3주차에는 발표와 평가를 통해 미흡한 점을 찾아낸다.직접 ... ...
- [과학뉴스] 2016년 노벨상의 주인공은 아주 작은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전기를 통하는 정도가 연속적인 값으로 바뀌는데, 평면에 있는 원자는 띄엄띄엄하게 정해진 값으로만 변한답니다.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들은 이 현상을 ‘위상수학’ 개념을 도입해서 설명했어요. 위상수학에서는 도형의 이나 각도 등이 달라도 늘이거나 줄였을 때 같은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면 같은 ... ...
- [도전! 코드마스터] 장애물을 피해 피아노를 옮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피하기 위해 경로를 짜다 보면 비효율적으로 빙빙 돌아갈 수 있어요. 또 주어진 일을 정해진 장소에서 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일의 순서까지 생각해 전체 경로를 계산해야 하지요.이때 여러 대의 로봇이 서로 충돌 없이 최단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알고리즘을 짜면 매우 편리할 거예요. ... ...
- Part 2. 세계 곳곳 나무 고층 건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산림유전자원부 종합연구동이에요. 이 건물은 높이 18m로, 현재 우리나라 건축법에 정해진 나무 건축물의 최대 높이지요.종합연구동이 과거에 지어진 한옥과 다른 점은 바로 접합부예요. 원래 한옥을 지을 때는 연결하는 부재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깎은 뒤에 끼워 넣어서 조립해요. 하지만 ... ...
- Part 5. 상괭이 떼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그 지역의 정보를 큰 소리로 불렀어요. 조사팀은 이런 방법으로 하루에 약 5시간씩, 정해진 이동 경로를 따라 다니며 이틀에 걸쳐 태안 해안에서 상괭이를 찾는답니다. 첫째날은 신진항 북쪽 구역을, 둘째날은 남쪽 구역을 조사하죠. 상괭이를 발견한 곳에선 잠깐 멈춰 수온, 용존산소농도 등을 ... ...
- Part 2. 미션 ➊ 강력한 방사성 물질을 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최소화할 수 있답니다.주노는 세로로 공전하기 때문에 한 번 목성에 접근할 때마다 정해진 *경도 안에서 모든 *위도를 탐사해요. 또한 주노는 14일에 한 번씩 목성을 도는 반면, 목성은 10시간에 한 번씩 자전을 하지요. 이 두 주기가 엇갈리면서 주노는 목성에 도착할 때마다 새로운 경도를 돌게 돼요. ... ...
- [도전! 코드 마스터] 컴퓨터는 내가 원하는 정보를 어떻게 찾아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값을 비교해가는 방식이에요. 1부터 10까지 숫자 중 8을 찾는다고 하면, 일단 5를 기준으로 정해요. 5는 8보다 작죠? 이 경우 5를 최저값으로 바꾸고, 5부터 10 사이에 있는 7을 새로운 기준값으로 둬요. 이런 식으로 훑어봐야 할 데이터의 수를 줄여가면서 검색하기 때문에 순차 검색보다 빠른 시간에 ... ...
- [도전! 코드 마스터] 엉망진창 책장 속 책들, 어떻게 정렬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가장 큰 책이 오른쪽에 오도록 두는 건 어떨까요? 처럼 원래 순서가 정해진 경우라면, 가지고 있는 어과동 중 가장 먼저 나온 책을 왼쪽에 두고 그 후 책이 나온 월 순으로 정리할 수 있을 거예요.이처럼 어떤 데이터를 순서대로 늘어놓는 걸 ‘정렬’이라고 해요. 이때 순서는 크기, ... ...
- [소프트웨어로 세상을 지켜라! 코드마스터] 신발 먼저 신을래, 양말 먼저 신을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업을 할 수 있는 경우도 있고, 사용자가 맵을 보고 두 아이템을 가장 빨리 얻는 길을 결정해야 할 때도 있어요. 앞은 제작자가, 뒤는 사용자가 위상정렬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경우랍니다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모습이었는지, 앞으로 어떻게 진화할 것인지를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탐사 장소가 정해진 뒤 암석을 채취하는 일도 만만치 않은 작업이었다. 때론 절벽에 매달려 암석을 채취해야 할 때도 있었다. 그래도 경험과 지식이 풍부한, 숙련된 연구자에겐 비교적 수월하지 않을까. 수십 년 경력의 이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