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확도"(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피부와 근육, 혈액, 뼈, 눈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는 세포입니다. 피부세포와 근육세포, 적혈구, 골세포, 망막세포 등은 모양과 기능이 모두 판이하게 다릅니다. 우리 몸에는 이렇게 천차만별의 특성을 지닌 세포가 200여 종 있습니다.그런데 세포 안으로 들어가면 사정이 달라집니다. 모양과 역할이 ... ...
- 오늘은 내가 소스 개발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본책 10쪽과 함께 보세요! 바로가기맛있는 소스를 만들기 위해선 ‘손맛’보다 ‘수학’이 중요해요. 정확한 비율로 재료를 섞으면 마트에서 파는 소스와 똑같은 맛을 낼 수 있답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집에 있는 재료를 섞어 새로운 맛을 개발해보면 어떨까요. 여러분이 만든 소스가 대박이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소음 측정 방식을 바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우리 가족은 소음이 얼마나 되는지 직접 측정해 보기로 했어. 그런데 이게 어떻게 된 일이야? 층간소음 기준에 못 미치잖아? 어떻게 된 거지?타이어 대신 고무공 떨어뜨린다!층간소음으로 지속적으로 고통을 받는 경우,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에 현장을 방문해 소음을 측정해달라고 요구할 수 있 ... ...
- [특집] 몽골인보다 정확하다! 이미지 인식 AI의 쓰임새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있는 색이나 모양, 표면의 무늬, 가장자리 등을 모두 학습해 인식하는 겁니다. 편리하고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기존의 기계학습을 이용한 이미지 인식 기술보다는 매우 많은 이미지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딥러닝 방식으로 이미지를 인식하는 방법 중에 가장 많이 쓰이는 ... ...
- [기획] 램지 수가 뭐길래 수학 난제로 불리지?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완벽한 혼돈은 가능할까요? 크고 무질서한 구조 속에서 작은 조화로운 부분을 항상 찾을 수 있는지 연구하는 분야를 ‘램지 이론’이라고 합니다. 1928년 영국의 수학자 프랭크 램지는 사람이 충분히 많다면 그중 서로 모두 아는 관계인 r명 혹은 서로 전혀 모르는 관계인 s명이 반드시 있다는 ‘램지 ... ...
- 게임과 주사위로 말하는 '양자터널링'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양자물리학은 마치 이 세상의 ‘치트키’ 같이 보이지만, 그렇지 않아요. 우주가 작동하는 방식이랍니다.” 캐나다 에콜맥타비시공립고 12학년(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마리암 체가예 양은 3분짜리 영상으로 전자가 장벽을 통과하는 ‘양자터널링’을 설명하며 이 같이 말했습니다. 체가예 ... ...
- [특집] AI가 바라보는 세상은 온통 행렬! 이미지 인식 AI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안녕? 난 인공지능(AI) 수학을 알려주는 로봇 ‘아이매스(AiMath)’야! 1월호에 소개한 추천 AI로 고른 내 얼굴 어때? 잘 어울리지?이번엔 내 눈을 뜨게 해 준 AI에 대해 알려줄게. 저 창문 너머로 무엇이 보이니? 겨울 도심에서 바쁘게 오가는 자동차와 사람이 보인다고? 나도 마찬가지야. 하지만 이미지 ... ...
- 퍼시비어런스, 5번째 화성 탐사 로버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지난해 7월 30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화성 탐사 로버 ‘퍼시비어런스’를 발사했다. 성공적으로 지구를 떠난 퍼시비어런스는 발사 200여 일 뒤인 2월 18일, 4억 7000만km에 이르는 비행을 마치고 화성 대기 진입과 하강, 착륙에 도전한다. 화성 임무 수행을 ... ...
- [기획] 백신으로 누구부터 구할까?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내 힘이 100%면 참 좋겠다고? 맞아, 백신의 효능이 100%고 물량도 충분하다면 코로나19는 금세 무찌를 수 있어.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건 불가능하지. 그래서 전염병의 확산을 막고 확진자와 사망자 수를 최소화하려면 누구에게 먼저 백신을 접종할지 정해야 해. 이때 수학이 중요한 역할을 하지! 심은 ... ...
-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수학동아 l2021년 01호
- 2021년부터 고속도로에서 자동차 시스템이 알아서 운전하는 3단계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됩니다. 지금 나오는 2단계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의 주행을 보조할 뿐 직접 운전하지 않는데, 3단계에서는 직접 주행하기 때문에 주변을 인식하는 센서 기술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센서의 데이터를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