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윗대
선조
소상
조각
선대
웃대
노인
d라이브러리
"
조상
"(으)로 총 1,120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 쉼쉬는 녹색의 도시 --유럽의 환경생태도시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도시를 만들지 않으니 그만큼 환경 파괴도 없는 셈이지요. 환경촉매장치를 달아요옛
조상
들이 아무리 건물과 도로를 튼튼히 만들었더라도 대기를 오염시키면 부식되기 마련입니다. 이탈리아에서는 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1998년 이후부터 생산되는 자동차에는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난로의 연료가 되고 터빈을 돌려 전기를 만들 수도 있다.오래 묵힌 똥이 영양도 좋아우리
조상
들은 똥을 땅에 뿌려 퇴비로 사용했다. 짚이나 쌀겨, 톱밥을 넣고 오래 묵힌 똥은 냄새도 나지 않고 양분도 풍부하다. 똥으로 만든 향기로운 커피커피를 수확하는 원숭이와 고양이, 다람쥐를 상상 할 수 ... ...
2 놀라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하게 되면서 두 손이 자유로워졌기 때문에 사람으로 진화할 수 있었습니다. 인류의
조상
이 두 다리로 걷지 못했다면 우리들은 다른 형태의 동물로 살아가고 있을 거예요.로봇도 진화를 거듭해 두 다리로 걷게 됐지요. 수백 개의 모터를 이용해 사람처럼 한 다리에서 다른 다리로 중심을 이동하며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첫 단세포 생명체가 탄생했다. 그 후 세포가 여러 개인 다세포생물로 진화했다. 인간의
조상
이 침팬지와 갈라져 복잡하고 다양한 진화를 거듭하게 된 것도 지금으로부터 600만년 전이다. 암세포도 세포?암세포도 원래는 정상세포였다. 단지 식욕이 엄청나게 왕성할 뿐이다. 사람의 몸은 약 60조 개의 ... ...
가을 하늘을 집안에 들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8호
어느덧 하늘이 높고 푸른 가을이에요. 가을하면 떠오르는 빛깔이 무엇인가요? 노랗고 빨간 단풍빛도 떠오르지만 뭐니뭐니해도 시원한 하늘빛이지요. 우리 ... 세월이 지나도 그 아름다운 빛깔을 유지하고 있는 고려청자. 가을하늘을 도자기에 담은
조상
들의 멋과 지혜에 찬사를 보냅니다 ... ...
아름답게 다시 태어난 전복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6호
강하게 만들고 환자의 회복에 좋다고 하여 해산물 중에서도 귀한 음식이었습니다. 우리
조상
들은 영양가 만점의 전복을 먹고 그냥 버리지 않았습니다. 껍데기를 이용한 것이죠. 우둘투둘 여드름투성이에 보기 흉한 전복 껍데기를 어디에 이용했냐구요?전복 껍데기는 잘 다듬으면 영롱한 무지갯빛을 ... ...
서양귀신 VS 동양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친숙한 귀신이다. 함부로 땅을 파고 집을 고치면 터주가 노해서 재앙을 내린다 믿었다.
조상
들은 터주항아리를 두고 곡식을 따로 모아 바치면서 위했던 귀신이다.정화수성주가 집안의 길흉을 책임지는 귀신이라면 조왕은 부엌에 살면서 재물을 책임지는 귀신이다. 또 불씨를 보호해 준다고 해서 ... ...
초강법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숯을 태워 탄소를 더해야 단단해지는데 이것은 무척 어려운 기술이었습니다.하지만 우리
조상
들은 쉽게 부러지지 않고 날카로운 철제 무기를 만들어 냈고 덕분에 고구려를 건국할 수 있었습니다. 수백 년 뒤 광개토대왕과 장수왕이 만주를 아우르는 거대한 영토를 차지할 때도 강한 철제 무기가 ... ...
잊혀진 시원함, 죽부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자면 건강에도 해롭구요.냉방 기구가 있는 요즘도 열대야를 견디기 힘든데 옛날
조상
들은 더운 여름날 어떻게 잠을 청했을까요? 누가 옆에서 잠자는 내내 부채질을 해 줄 수도 없었을 텐데 말이지요. 방법은‘죽부인’이었습니다.죽부인이라…. 왠지 살아 있는 사람같이 느껴지기도 하는데요. ... ...
석빙고 없이 여름을 어떻게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보낸 방법은 바로‘석빙고’라는 곳에 있었습니다. 석빙고는 삼국시대부터 우리
조상
들이 이용한 얼음 창고입니다. 겨울에 강이나 호수에서 얼음을 채취한 후 석빙고에 잘 보관해 뒀다가 여름에 얼음을 꺼내 사용할 수 있었어요. 현재 경주, 안동, 창녕 등의 지방에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석빙고가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