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회"(으)로 총 1,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심의 숨구멍, 환풍구를 안전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2014년 10월 17일, 집에서 텔레비전을 보다가 깜짝 놀랐지 뭐야!평소 자주 지나다니던 환풍구에서 무서운 사고가 난 거야~. 그 뒤부터 환풍구만 보면 깜짝깜짝 놀라는 버릇이 생겼어. 생각없이 올라갔던 과거를 생각하면 등골까지 서늘…. 보도를 떡 하니 차지하고 있어서 피할 수 없는 거대 환풍구는 ...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4 에볼라바이러스가 우리나라에도 퍼질까?지난 8월 6일 대한의사협회와 대한감염학회는 “에볼라바이러스가 우리나라에 전염될 가능성이 무척 낮으므로 심각한 공포심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발표했어. 그래도 사람들은 여전히 에볼라바이러스를 두려워하고 있지. 하지만 너무 걱정 마! 조만간 ...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때문에 외국인들이 꼭 들리는 관광 명소가 되기도 했다. 9호선 고속터미널역도 영국 토목학회의 메달을 받을 정도로 아름다운 역으로 손꼽힌다. 아치형 천장이 길게 늘어서서 마치 미술관에 들어온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옛날에 지은 역도 최근 공사를 통해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나는 중이다. ... ...
- [참여] 수학을 배우고, 나누고, 즐기는 제4회 창의적수학토론대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일반적인 수학대회와는 다르다. CMS에듀케이션과 소년조선일보, (사)한국창의정보문학학회가 공동 주최한 ‘창의적수학토론대회’로 문제풀이 실력이 아니라 참가자의 토론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 협동심과 열정을 평가하는 대회다. 올해로 4회째를 맞는 이번 대회에서는 전국 15개 도시에서 예선을 ... ...
- [과학뉴스] 청각만으로 길 못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어렸을 때 암으로 시력을 잃은 대니얼 키시(사진)는 앞을 보지 못하지만 자전거를 탄다. 혀로 소리를 낸 뒤 반사된 음파를 귀로 듣고 장애물을 ... 청각만으로 길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증명된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 생물학 온라인판 11월 11일 자에 발표됐다 ... ...
- [과학뉴스] 서울과 도쿄는 닮은 꼴 도시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전 세계 도시를 네 종류로 나눌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그 결과를 학술지 ‘영국왕립학회보 인터페이스’ 10월 8일자에 발표했다.로프 박사는 전 세계 131개 도시의 지도를 구한 뒤, 도시를 여러 개의 구역으로 나눴다. 그런 뒤 구역의 전체 넓이를 구하고, 각 구역을 둘러쌀 수 있는 최소의 원 넓이를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2014년 3월호 기획 ‘핵 쓰레기, 더 이상 버릴 곳이 없다’ 참조).송명재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회장은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2016년부터 사용후핵연료의 포화가 시작되는 원전이 생길 예정”이라고 말했다. 원전끼리 사용후핵연료를 서로 나눠 저장하거나, 연료봉을 좀더 조밀하게 배치하는 ...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사용하는 모습을 보일 때까지 수학자들은 NSA의 일을 하면 안 된다는 글을 ‘미국수학학회지’ 2014년 6~7월호에 실었다. 더불어 그는 무분별한 개인정보 수집이 테러 방지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 5년간 미국 국방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NSA가 수집한 대량의 정보가 테러를 예측하는 데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어렵게 KAIST 교수가 된 뒤에도 제대로 된 연구를 하지 못하는 삶이 답답했다. 우연히 한 학회에서 실리카로 만든 메조다공성(중간크기의 구멍이 많은) 물질을 알게 됐고, 마흔이 돼서야 이 물질을 합성하는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게 됐다. “구조 분석만 하다 합성은 처음 해본 건데 막상 해보니 어렵지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80%를 찾아냈다”고 설명했다.부위별 단백질 분석하고 초기 간암도 정확히 진단이번 학회에서 가장 주목받은 발표자는 아킬레시 팬디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교수였다. 마지막 날이었지만 팬디 교수의 발표장에는 200석 규모의 강의실에 발 디딜 틈이 없었다. 그의 연구팀이 ‘네이처’ 5월 28일자에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